[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 김경아)는 지난 2012년 설립 이후 고품질 의약품의 환자 접근성 확대를 목표로 바이오시밀러 개발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23년 국내 의약품 개발사 중 최단 기간 매출 1조원 달성이라는 기록을 세운 바 있다. 이 시기 매출액은 1조 203억원, 영업이익은 2054억원이다.
지난해에는 매출액 1조 5377억원을 달성하며 사상 최대 매출액 기록을 갱신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올해 2월 말 기준 글로벌 시장에 총 11종 제품의 내놓았다. 각각 유럽 EMA 11종, 미국 FDA 10종,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9종의 허가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피즈치바(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미국에 출시했다. 이 약물은 얀센이 개발한 블록버스터 의약품 스텔라라의 바이오시밀러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한 종류인 인터루킨(IL)-12.23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해당 제품 출시와 더불어 미국 메디케어 파트 D 개편 등 약가인하 기조에 따라 올해 역시 바이오시밀러 매출 증대로 인한 외형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성장 가도 달리는 안국약품…'환골탈태'로 경쟁력 강화
- 다시 뛰는 ‘R&D 명가’의 심장…한미약품, 글로벌 헬스케어 도약 잰걸음
- 17년 ‘뚝심’ 美 허들 넘을까…HLB, 새 도약의 한 해
- 대한민국 1호 블록버스터 탄생…셀트리온, 올해도 글로벌 시장 ‘정조준’
- 전통 제약사의 저력…유한양행, 제2의 ‘렉라자’ 신화 쓴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약바이오 최초 4조 넘어 ‘5조 클럽’ 전망
- 신라젠, 항암 치료제 포트폴리오 다수…기술이전 기대감 ↑
- 동국제약, ‘미다스의 손’ 증명…미래동력 확보 박차
- GC녹십자, 글로벌 탑티어 ‘혈액제제 기업’ 행진 박차
- [창간10주년 특별기획] 기업이 뛴다 - 제약바이오
- 삼성바이오에피스-성균관대학교삼성융합의과학원, 산학협력 협약
- 한미약품‧삼성바이오에피스,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공동판매 맞손
- 삼성바이오에피스, '오보덴스' 국내 품목허가 획득
- 의료비 전쟁 선포한 미국…수혜 입을 K-기업은?
- 약가인하 추세 가속화…K-바이오시밀러 수혜 기대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