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 "권익 위해 끝까지 포기하지 않을 것"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의대생 복학 마감일(3월 31일)을 맞은 가운데 학생들의 복귀 러시가 예상되고 있다. 단일대오가 깨지며 의료개혁에 대한 투쟁 동력이 반감됐고,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전공의 단체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31일 정부와 의과대학에 따르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울산대, 가톨릭대 등 빅5를 수련병원으로 둔 의대생 뿐만 아니라 충남대 등 지방 국공립대 의대생들이 대학으로 복귀하고 있다.
각 대학이 전례 없이 강경하게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과 유급 처리 기조를 보이며 복귀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복학 신청을 마감하는 대학은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가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 등이다. 4월 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총 38개 의대가 의대생 등록과 복학 신청을 마감하며 의대생 복귀 행렬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이날까지 등록과 복학 신청 마감 결과를 지켜본 후 '의대생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일부에서는 의대생들이 등록 후 수업 거부 등의 방법으로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 측이 이런 '학사 일정 방해 행위'에 대해서도 유급 처리 등의 엄정한 대응을 예고하고 있어 이는 현실화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다.
실제로 의대생 내부에서도 이제는 학업으로 돌아가 실리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의대생들이 모인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지금 돌아가야 2026학년도 의대 증원 동결, 의료인력 수급 추계위원회 등을 얻을 수 있다" "투쟁을 이어가 봐야 2026년 이후 계속 2000명이 증원되는 걸 봐야 한다" "의대생들은 지난 1년 동안 할 만큼 했다" "의협과 전공의 단체가 그동안 정부와 협상하며 보인 모습은 사회성 결여와 무능밖에 없다" 등의 의견을 내고 있다.
의대생 투쟁 지지 의견을 보이던 의협은 학생들의 복귀 행렬에 대해 내부적으로도 의견이 분분한 모양새다.
의협은 입장문을 통해 "각 의대 학장, 총장님들께서는 현재의 국가재난사태에 학생들의 제적이라는 재난적 상황을 더해 혼란을 가중시키지 않기를 바란다"면서도 "의협은 학생들이 독립적인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서 결정을 할 것으로 믿는다. 그들이 내린 결정은 어떤 결정이든 존중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박단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겸 의협 부회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는 거냐"며 "저쪽(학교)이 원하는 건 결국 굴종이 아닌가. 죽거나 살거나, 선택지는 둘뿐이다.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고 일갈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대협)은 투쟁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의대협은 대회원 서신을 통해 "교육부와 그에 굴종한 학교로부터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의사들을 받들고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 온갖 협박과 유린, 계엄에도 결국 학생들은 한 곳으로 또 모인다. 의대협은 포기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