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의대생, 제적시 소송 불사 경고
의협, 의대생 지지 성명
"의대생 제적, 내부 집결 동력될 수 있어"
서울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연합뉴스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연세대와 고려대 의과대학생들이 상당수 복귀하며 집단행동이 사실상 와해됐다. 각 대학 총장들이 학칙에 따라 미복귀 의대생들을 제적할 전망인 가운데, 일부는 소송도 불사하겠다며 경고하고 나섰다.

24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연세대와 고려대 의대생들의 상당수가 복귀했다. 두 대학 측은 정확한 숫자보다는 돌아오는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말하면서도, 절반 정도의 의대생이 복귀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휴학 단일대오를 유지하던 의대생들은 동료의 복귀 소식에 동요했다. 이에 연대와 고대 의대생 일부는 각각 미복귀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미등록 휴학 관련 실명 인증을 요구하고 나섰다. 

교육부는 실명인증 행위를 '복귀 방해'로 보고 수업 방해 혐의로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이번 주는 의대생 복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날 건양대를 시작으로 27일 서울대·이화여대·부산대·동국대, 28일 경희대·인하대·전남대·조선대·충남대·가톨릭대가 차례로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한다.

앞서 연대와 고대에서 복귀자가 대거 나오면서 복학 마감일을 맞는 다른 의과대학 학생들도 상당수 복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각 대학 총장들은 복학 마감일까지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들에 대해서는 학칙을 엄격하게 적용해 제적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미복귀 의대생들은 각 대학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할 것이란 입장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학생 대표 공동 성명서를 통해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계 처리 과정에서 부당한 처우를 당한다면 소송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대한의사협회(의협)도 의대생들을 지지하고 나섰다. 의협은 "선배들인 의협이 책임지고 이 문제를 풀어갈 테니 학생들은 제자리로 돌아가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의협은 의대생 각자의 판단을 존중할 것"이라면서도 "의대생들의 제적은 작년 전공의들의 사직과는 무게가 다른 또 다른 문제다. (제적이) 현실이 된다면 의협은 우리나라 의료의 미래인 의대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가장 앞장서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계 일부에서는 의대생들의 제적이 오히려 투쟁의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대한개원의협의회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의대생 제적이 현실화된다면 투쟁 동력이 생길 수 있다"며 "각 진료과 의사회장들과 논의를 통해 대응 방안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파업은 신중히 결정해야 할 문제지만 제적이 현실화된다면 내부에서 단체 행동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교육부는 오는 31일까지 상황을 지켜보며 의대 정원 동결 전제인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원 복귀의 의미에 대해서) 의대생 1명까지 전부 돌아와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면서도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