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율 상승에 위험가중 자산이 증가한 영향이다.
금융당국은 고환율이 지속되고 있고,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자본여력을 지속해서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이 31일 발표한 '2024년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총자본비율은 15.58%로 전 분기 말 대비 0.26%p 하락했다.
보통주자본비율(13.07%)과 기본자본비율(14.37%)도 각각 0.26%p와 0.28%p가 하락했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감독당국의 규제비율은 보통주자본비율 8.0%, 기본자본비율 9.5%, 총자본비율 11.5% 등이다. 2024년 말 기준으로 모든 국내은행이 자본규제 비율을 크게 상회하며 양호한 수준을 보엮다.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금융지주(16.43%)·씨티은행(34.28%)·SC제일은행(19.73%)·카카오뱅크(27.24%) 등이 16.0%를 상회했으며, 다만 KDB산업은행(13.71%)은 14%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은행(33.20%)·SC제일은행(16.07%)·카카오뱅크(26.10%)·토스뱅크(14.76%) 등이 14% 이상, KB금융지주(13.53%)·하나금융지주(13.22%)·신한금융지주(13.06%)·한국수출입은행(13.92%)·케이뱅크(13.52%) 등이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024년 말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지난해 4분기 중 환율 상승으로 위험가중자산이 크게 증가해 전 분기 말 대비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이어서 "올해에도 고환율이 지속되고 있으며, 경기회복 지연과 미국 보호무역주의 심화와 같은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이 증가해 자본여력을 계속해서 제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여건 악화시에도 은행이 신용공급 축소 없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유도할 예정이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 이찬우 NH농협금융 회장 "당장 혁신하지 않으면 미래는 없다"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수익성 확보 통한 질적 성장 추진할 것"
- 하나은행, 퇴직연금 운용도 AI…금융권 최초 RA 서비스 개시
- 금리인하에 대기성 자금↑…머니무브 본격화될까
- 토스뱅크, 출범 후 첫 연간 흑자 달성…지난해 당기순익 457억원
- 거주자외화예금 3개월 만에 감소…환율 상승에 차익실현
- [현장] '초호화 주주 구성' 소호은행...소상공인 위한 '첫 번째 은행' 천명
- IBK기업은행, 내부통제 강화 박차…쇄신위원회 출범·신고 시스템 개선
- 우리은행, '국내 최초' 폴란드 지점 개점…유럽 세 번째 거점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