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집단행동 멈춰야 한다는 의견 85.6%
정부가 공공의료 지원해야…82%
"의료계, 의료 개혁 대화에 참여해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 관계자들이 지난 29일 충남대병원 병원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연합뉴스 제공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 관계자들이 지난 29일 충남대병원 병원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국민 대다수가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이 의료개혁을 비롯해 의대 증원에 반발해 벌이는 집단 행동을 멈춰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는 3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달 28~29일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임의전화걸기 방식으로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결과 85.6%의 응답자가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은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답했다.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존중하고 지지한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 

의료계가 정부를 상대로 낸 의대 증원·배분 효력 집행정지 신청의 항고심에서 법원이 각하·기각 판결을 내린 것과 관련해서는 "잘한 판결"이라는 응답이 70.4%, "잘못된 판결"이라는 응답이 18.1% 였다.

또한 응답자들은 전공의 이탈로 인해 경영난을 맞은 수련병원과 의료 공백을 메우고 있는 공공 병원에 대한 지원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2.2%가 "필수·중증 응급의료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수련병원을 지원해야 한다"고 답했다

의료개혁의 핵심과제인 지역의사제 도입과 공공의대에 대해서도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1.7%가 찬성 의사를 표했으며, 81.7%가 공공의대를 설립해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무분별한 개원, 병상 증축을 통제하는 정책에 대해서도 높은 지지를 보냈다. 

무분별할 개원 통제 정책에는 55.4%가, 무분별한 병상 증축 통제에 대해선 62.0%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의료 개혁과 관련해 의사단체에 대해선 의사들이 의료 개혁을 위한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응답자들의 86.5%가 "의사들이 의대 증원과 관계없이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대화를 거부하는 의사단체 입장을 지지한다"는 의견은 11.2% 뿐이었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의대 증원 확정을 '한국 의료 사망선고'라고 규정한 대한의사협회의 주장과 상반되는 결과"라며 "강경 투쟁은 국민 여론에 역행하는 처사이므로 의사단체들은 국민의 뜻에 따라 의료개혁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