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다우 0.8%↑, S&P 500 0.8%↑, 나스닥 1.0%↑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8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망치를 웃돌고 국채금리가 이틀 연속 하락세를 보이자, 시장에 매수 심리를 자극한 결과, 4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로 장을 끝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50.06포인트(0.77%) 뛴 45,621.29에 장 문을 닫았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3.82포인트(0.83%) 상승한 6,502.08에, 나스닥종합지수는 209.97포인트(0.98%) 오른  21,707.69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이날 증시는 강보합으로 문을 열었다. 미국 고용 지표들이 잇달아 약세 신호를 보낸 영향으로 풀이된다.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8월 민간 고용은 전달 대비 5만4000명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6만5000명에 못 미치는 수치고, 7월 10만6000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상승폭은 반토막 났다. 

지난달 30일로 끝난 한 주 동안 계절 조정 기준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도 23만7000건을 기록해 예상치 23만건을 상회했다. 

고용 둔화 신호는 이번 달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을 더하는 흐름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 25bp(1bp=0.01%p)인하될 확률을 99.4%로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고용 둔화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인 만큼 증시에 전적으로 호재라고 보긴 어렵다. 때문에 오는 5일 발표되는 8월 비농업 부문 고용 보고서의 결과를 예의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서비스업 업황 호조가 이날 장 초반 강보합에 머물던 주가지수를 꾸준히 끌어 올렸다. 8월 공급관리자협회(ISM)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2.0을 기록해 전망치 51.0을 웃돌았다. 국채금리가 이틀째 하락세를 보인 점도 위험 자산인 주식에 대한 관심을 한층 드높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항소심에서 불법으로 판결 난 뒤 재정 불확실성으로 흔들리던 30년물 국채 금리는 이틀간 약 10bp 하락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 아마존이 4% 이상 올랐다. 아마존이 투자한 인공지능(AI) 회사 앤트로픽이 대규모 펀딩에 성공하면서 주가를 부양했다.

최천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