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9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 3대 지수가 종가 기준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사상 최고치로 거래를 끝냈다. 미 연간 고용 증가 폭이 대폭 하향 조정되면서 고용 우려가 커진 가운데서도 나온 결과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6.39포인트(0.43%) 오른45,711.34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7.46포인트(0.27%) 상승한 6,512.6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80.79포인트(0.37%) 뛴 21,879.49에 각각 거래를 마감했다.
미국의 고용시장이 당초 파악했던 것과 달리 좋지 않다는 통계 수정발표가 나왔다. 이날 미 노동부에 따르면 연간 비농업 일자리 증가 폭이 종전에 발표한 수치에서 91만1000명을 하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해 4월부터 올 3월까지 매월 약 7만6000명이 적었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이 기간 월간 일자리 증가 폭은 종전 14만7000명에서 7만1000명으로 하향 조정됐다. 미 경제방송 CNBC는 이 같은 고용 하향 조정폭은 지난 2002년 이후, 23년 만에 가장 컸다고 보도했다.
7월에 이어 8월도 고용시장이 예상과 달리 악화하면서 시장은 고용 동향에 안테나를 세우는 분위기다. 특히 이번 주 예정된 생산자물가, 소비자물가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JP모건체이스)는 이와 관련해 “경제가 약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고용 둔화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을 강화하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17일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릴 확률을 100%로 보고 있다. 이날 기준 시장은 0.25%p 인하 확률, ‘0.50%p(빅컷)’ 인하 확률을 각각92%, 8%로 반영했다.
미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는 1.7% 상승했다. 3분기 IB(투자은행)실적이 긍정적이라는 임원 전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고용 지표 충격 소화…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3대 지수, 고용 부진·경기 침체 우려에 일제히 하락
- [뉴욕증시] 서비스업 업황 ‘활황’, 국채금리 이틀째 ‘뚝’…강세 마감
- [뉴욕증시] 美 연방법원 “구글, 크롬 매각하지 않아도 된다”…기술주, 강세 주도 속 혼조 마감
- [뉴욕증시] 美 법원 상호관세 위법 판결…동반 하락 마감
- [뉴욕증시] ‘서프라이즈’ 오라클 실적에도 온기는 잠시…혼조 마감
-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마감
- [뉴욕증시] 트럼프, “美中 무역협상 매우 잘됐다”…강세 마감
- [뉴욕증시] FOMC 회의 결과에 쏠린 시선…약세 마감
- [뉴욕증시] 연준, 기준금리 0.25%p 인하 속 파월 발언 해석에 온도차…혼조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