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2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동반 하락 마감했다. 미국 법원이 지난달 29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가 위법이라는 판결을 내리면서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9.07포인트(-0.55%)떨어진 45,295.81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72포인트(-0.69%) 내린 6,415.5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5.92포인트(-0.82%) 내린 21,279.63에 각각 마감했다.
상호관세가 위법이라는 항소심 결정은 채권·주식시장의 투심을 악화시켰다. 특히 이 결정이 연방대법원에서 확정되면 관세 수입 감소와 함께 재정 적자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채권 시장의 우려를 증가시켰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27%로 전 거래일 대비 4bp(1bp=0.01%p) 올랐다.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도 같은 시간 4.97%로 전 거래일 대비 5bp 올랐다. 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에 채권 수익률이 오르면 채권 가격은 내려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채권 금리 상승으로 엔비디아(-1.97%), 테슬라(-1.35%), 아마존(-1.60%) 등 주요 기술주들이 이날 일제히 약세를 나타냈다. 지난달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뉴욕증시가 9월에는 역사적으로 좋지 않다는 점도 증시에 압박을 줬다.
올리버 퍼쉬 수석 부사장(웰스파이어 어드바이저)은 “이번 항소심 판결로 인해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 상대국들을 소외시키고 동시에 관세 수입도 포기하게 되느냐라는 질문이 제기됐고, 이런 의문이 시장을 괴롭히고 있다”고 말했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美 노동절 맞아 휴장
- [뉴욕증시] ‘기대와 경계사이’ 엔비디아, 낙관론 우세…강세 마감
- [뉴욕증시] AI 거품 지속 가늠 지표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선반영…상승 마감
- [뉴욕증시] 연준 독립성 우려 덜고 엔비디아로 향한 시선…소폭 동반 상승
- [뉴욕증시] 기준금리 인하 “확정적이지 않다” 경계감에 동반 하락 마감
- [뉴욕증시] 美 연방법원 “구글, 크롬 매각하지 않아도 된다”…기술주, 강세 주도 속 혼조 마감
- [뉴욕증시] 서비스업 업황 ‘활황’, 국채금리 이틀째 ‘뚝’…강세 마감
- [뉴욕증시] 고용 지표 충격 소화…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최고치 기록 경신…사상 최고치 마감
- [뉴욕증시] ‘서프라이즈’ 오라클 실적에도 온기는 잠시…혼조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