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다우 0.8%↓, S&P 500 0.4%↓, 나스닥 0.2%↓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장의 잭슨홀 연설과 관련해 시장에선 오는 9월 기준금리 인하가 확정적이지 않다는 경계감에 퍼지면서 25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 3대 지수가 동반 하락하며 장을 닫았다. 

2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9.27포인트(0.77%) 하락한 45,282.47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7.59포인트(0.43%) 밀린 6,439.32에, 나스닥종합지수는 47.24포인트(0.22%) 떨어진 21,449.29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파월은 지난 22일 잭슨홀 연설에서 “실업률과 기타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정책 기조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이 제약적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기본 전망과 위험 균형의 변화는 정책 기조 조정을 정당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9월 17일 열릴 예정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이날 증시는 조정을 겪었는데 파월의 발언에 직전 거래일 주요 주가지수가 1%넘게 급등한 탓으로 해석된다. 특히 파월의 발언에 1.9% 상승했던 다우는 이날 0.8%가까이 하락하며 조정폭이 컸다.  

샘 스토발 전략가(CFRA리서치)는 “9월 17일까지는 너무 많은 이벤트가 있기 때문에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확신이 들기 전까지 우리가 견뎌야 할 게 많다”고 말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M7)중에선 엔비디아, 알파벳, 테슬라가 각각 1%대 강세를 보였고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이날 5.9%까지 낙폭을 늘리다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팔란티어는 지난 12일 19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은 뒤 하방 압력을 강하게 받고 있다. 인텔은 1% 하락했다.

최천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