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19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는 우량주와 기술주의 희비가 엇갈린 하루였다. 다우지수는 장 중 한때 최고치를 찍은 반면 기술주는 특별한 악재가 없었지만 인공지능(AI)거품론이 부각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나스닥 지수가 1%이상 떨어졌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45포인트(0.02%) 오른 44,922.27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7.78포인트(0.59%) 떨어진 6,411.37에, 나스닥종합지수는 314.82포인트(1.46%) 내린 21,314.95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 “AI산업 거품 끼었다”
오픈AI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는 전날 기자 간담회에서 “투자자들이 과도하게 흥분해 있다”며 “AI 산업에 거품이 끼었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AI 기업들의 가치가 이미 통제 불능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이 발언 외에도 중국이 외국산 칩의 사용을 제한하려는 움직임도 기술주 하락을 거들었다.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당국은 공공 소유 데이터센터에 컴퓨팅 칩의 절반 이상을 중국 업체로부터 공급받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만 언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중국에 판매되는 그래픽칩 H20의 가격 인상을 고려 중이다. 이는 엔비디아가 중국에 수출해 판매하는 제품의 매출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이를 벌충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미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특정 기업의 지분을 받아야한다는 점도 시장에 경계감을 불어넣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리가 지급하는 보조금이 무상이 아니라 지분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 지원법(칩스법)에 따른 보조금이 결국 지분 투자로 전환돼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 팔란티어 9% 급락…시총 1조달러 기술주 ‘줄하락’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대형 기술주는 모두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3.50%, 브로드컴은 3% 이상 각각 내렸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테슬라는 각각 1% 이상 떨어졌다.
미국 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9% 넘게 급락하며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고 이 기간 낙폭은 15%가 넘는다. AMD도 5.44%, Arm은 5% 밀려났다.
제이슨 브론체티 링컨파이낸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AI 트레이드가 완전히 중단된 것은 아니지만 숨을 고르는 것일 수 있다”며 “4월 이후 나스닥 지수가 40% 이상 상승한 만큼 시장이 재조정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은 역사적으로 정상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지수는 장 중 사상 최고치를 터치한 후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미국 대형 소매업체 홈디포의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돌았다. 그러나 동일 점포 매출은 꾸준히 증가한 점에 시장이 주목하면서 홈디포의 주가는 4% 넘게 뛰었다.
시장은 곧 있을 월마트 2분기 실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월마트가 예상을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하면 관세 불확실성은 약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미·우·러 3자 회담 성사 기대…혼조 마감
- [뉴욕증시] 상호관세 발효…혼조 마감
- [뉴욕증시] ‘총 6천억달러’ 애플, 트럼프 정부 들어 두 번째 투자 발표…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美 경제 핵심축 서비스업 PMI지수 여파에 동반 하락 마감
- [뉴욕증시] 고용시장 악화가 기준금리 인하 부채질?…하루 만에 반등 마감
- [뉴욕증시] ‘AI 거품’ 지속…기술주 저가 매수 속 나흘째 혼조 마감
- [뉴욕증시] 장 중 요동친 ‘다우’, 5거래일 연속 하락 ‘S&P’…동반 약세 마감
- 파월 금리인하 시사…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기준금리 인하 “확정적이지 않다” 경계감에 동반 하락 마감
- [뉴욕증시] 연준 독립성 우려 덜고 엔비디아로 향한 시선…소폭 동반 상승
- [뉴욕증시] AI 거품 지속 가늠 지표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선반영…상승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