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전문의 최초 진료 시간 감소
중환자실 사망자 감소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정부가 의료계를 향해 조건이나 의제 제한 없이 여야의정협의체 등을 통해 대화를 시작하자고 촉구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0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으를 주재하며 이같이 말했다.
박 차관은 "여야의정협의체,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의료계도 참여해 주길 다시 한번 부탁드린다"며 "대화를 시작하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제조건이나 사전적 의제를 정하지 말고 대화에 참여해 줄 것을 다시 한번 간곡히 요청드린다"며 "오는 18일까지 진행되는 '인력수급 추계위원회의에 의료계에서도 위원을 추천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의료현장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어 국민과 환자분들께 송구한 마음"이라며 "정부는 비상진료체계 유지를 위해 의료현장을 세심하게 모니터링하고 지원이 필요한 사항은 적극 조치하는 등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의료개혁 완수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이날 비상진료체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응급실 경증환자 수는 평시 8000여명에서 6000여명 수준으로 감소했다. 중증·응급 환자는 1300여명으로 평시와 큰 차이 없는 수준이다.
발병 후 응급실 도착시간은 2시간 미만이 33.3%, 1시간 미만이 18.2%로 예년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응급실 내원 후 전문의 최초 진료 시간은 평상시 24.7분에서 17.9분으로 감소했다.
박 차관은 "올해 2분기 사망자 수가 증가했다는 일부 지적이 있지만 저년 동기 대비 약 1.1% 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라는 학계의 판단이 있었다"며 "반면 3~7월 기준 응급실 전체 사망환자 수는 1만8690명, 응급실 사망 중증환자수는 1만7545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중환자실 사망자 수 역시 올해 2~5 기준 1만3677명으로 작년 동기 1만3691명 대비 소폭 감소했다.
박 차관은 "같은 기간 중환자실 사망자 비율은 11.3%에서 11.7%로 소폭 증가했으나 중환자실 사망과 관련한 사항은 환자의 질환, 연령 등 매우 다양해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복지부 “비상 체계 7개월…의료계와 갈등 마무리해야”
- 정부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에 건보 재정 3조 3천억원 투입"
- 복지부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행동 유감… 선배·동료 의사가 바로 잡아야"
- 복지부 "진료차질 예상되는 응급의료기관 1:1 집중 관리"
- 복지부 "관계 병원장들과 응급의료체계 유지 위한 대책 논의"
- "의사 수 절대 부족" vs "시스템의 문제"…의정 의견 팽팽
- 건대 의전원 회장 김창민 "학교 떠난 이유? 공부할 동기 잃어"
- 조규홍 장관 "의료계와 대화 물꼬 트길 희망…여야의정협의체, 추계위 참여 촉구"
- 대한의학회·KAMC,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결정
- [2024 국정감사] 조규홍 장관 "대한의학회·KAMC, 협의체서 의료계 입장 전달할 것"
- 의개특위 "1차 의료 강화 검토, 의료사고 안전망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