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의사·의대생 잘못된 인식과 행동 안타까워"
"어려운 상황 극복 위해 모두가 협력해야"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정부가 일부 의사와 의대생들이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패륜 발언을 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며 의료계를 향해 "선배와 동료 의사들이 바로잡아 달라"고 촉구했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 실장은 "의사와 의대생들만이 가입이 가능한 게시판에서 '국민들이 더 죽어나가야 한다'는 취지의 글이 다수 게시됐다"며 "일부 의사 또는 의대생들의 잘못된 인식과 행동이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료계에서도 환자 곁을 지키고 계신 의료진들의 노고가 존중받을 수 있도록 선배 혹은 동료 의사들은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행동을 바로잡아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지금은 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국민, 의료진, 정부 모두가 협력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또한 "의사 내부 커뮤니티 게시글 관련 불미스러운 게시글에 대해서는 관련 증거 자료를 확보해 가능하면 오늘 중 신속히 수사기관에 수사의뢰 조치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현재 젊은 의사들 중심의 커뮤니티인 '메디스태프'에는 도넘은 발언들이 확산되고 있다.
게시글에는 "하루에 1000명씩 죽어나갔으면 좋겠다", "조선인이 응급실을 돌다 죽어도 아무 감흥이 없다, 더 죽어서 뉴스에 나와줬으면 하는 마음뿐"이라는 글들이 게재됐다.
이외에도 "죽음에 대한 공포로 온몸이 마비되고 의사에게 진료받지 못해서 생을 마감할 뻔한 경험들이 여럿 쌓이고 쌓여야 생명을 다루는 의사에 대한 감사함과 존경심을 갖게 된다"며 "당연히 치료 결과가 어떻게 되든지 일단 치료받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안도와 감사를 느낄 것"이라는 글도 볼 수 있다.
앞서 복지부는 온라인 사이트에서 현장에서 근무중인 의료진의 목록인 '블랙리스트'를 작성해 악의적으로 배포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엄정한 조치를 예고한 바 있다.
정 실장은 "경찰청은 복지부의 의뢰에 따라 의사 집단행동 초기부터 현장에서 근무하고자 하는 의사 명단을 공개해서 진료 복귀를 방해하거나 모욕 또는 협박하는 행위에 대해 수사해 왔다"며 "경찰청은 그간 총 42건을 수사했고 사건과 관련해 총 45명을 조사, 총 32명을 검찰에 송치하는 등 엄정하게 조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찰청은 국내 의사 커뮤니티 외에도 아카이브 형식의 해외 사이트에 응급실 근무 의사 신상을 공개한 사건에 대해서는 용의자 2명을 특정해 압수수색 및 조사를 통해 범죄 행위를 규명하고 있다"며 "추가 3명에 대해서는 스토킹 처벌법 위반 방조 혐의로 입건해 수사를 진행 중이고 관련자들도 추적중이다"고 설명했다.
정 실장은 "진료에 종사 중인 의사 명단을 악의적으로 공개하는 행위는 엄연한 범죄행위"라며 "정부는 범부처 협력을 강화해 중한 행위자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의사·의대생 선 넘었다…"생 마감 경험 쌓여야 존경…국민=개돼지"
- "응급실 돌다 죽어도 감흥 無"…정부, 의사 커뮤니티 발언 수사 의뢰
- 의협 "의료계 '블랙리스트' 유포 유감…회원들에 중단 당부"
- 복지부 "블랙리스트 피해 의사 대인기피증…수사 통해 엄단"
- 응급실 불안 확산 속 '응급실 근무 의사 블랙리스트' 등장
- 경찰, 복귀 전공의 조롱·신상공개 게시글…"엄정한 책임 물을 것"
- 의료공백 7개월 여파…상급종병 6대 암 수술 17% 감소
- 정신질환·마약중독 의사, 버젓이 진료…복지부 규제 無 '방관'
- "블랙리스트, 저항수단"…가해자 두둔하는 의사들
- "영웅이 돈벼락 맞아야"…의사들, 블랙리스트 작성자 후원 송금
- 복지부 "응급의료체계 유지에 필요한 지원 연장 계획"
- 박민수 차관 "의료계, 조건·주제 정하지 말고 대화 참여해 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