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일제히 ‘거부권 정국’ 비판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두고 여야는 극명한 온도차를 보였다. 국민의힘은 "솔직하고 진솔한 회견"이라고 평가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자화자찬"이라고 질타했다.
정희용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9일 논평을 통해 "윤 대통령은 국민의 삶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도록 더욱 세심하게 민생을 챙기고, 국민의 뜻에 따라 국정을 펴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했다.
윤 대통령의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안'(이하 채상병 특검법)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언급에 대해선 "특검의 본질과 취지를 강조하며 진상을 밝히기 위한 엄정하고 공정한 수사와 함께 협조의 뜻을 구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갈등이 아닌 협치, 정쟁이 아닌 소통,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끈기, 인내, 진정성, 신뢰, 성의 등을 먹고사는 것이 협치'라는 윤 대통령의 말처럼 국민을 위한 협치에 정부·여당이 먼저 나서겠다"면서 "민생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더욱 낮은 자세로 소통하며 일하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야권은 채상병 특검법, 김건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안'(이하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윤 대통령이 수용할 의지가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총선을 통해 민심의 회초리를 맞고도 고집을 부리는 대통령의 모습이었다"고 꼬집었다.
윤 대통령이 김건희 특검법을 두고 '정치 공세'라는 취지로 언급한 것에 대해 "김 여사가 불가침 성역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말했고,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선 "수개월째 제자리걸음인 수사기관의 수사를 믿고 지켜보자는 말로 국민을 허탈하게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야당을, 국정을 같이 논의할 협력의 파트너로 인정했는지 근본적 회의감이 든다"면서 "대통령의 자성의 목소리가 있었다면 좋지 않았겠느냐"고 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총선 결과에 대한 성찰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며 "오답을 써놓고 정답이라고 우기는 것과 뭐가 다른가"라고 비판했다. 22대 국회가 시작되면 김 여사의 각종 의혹에 대해서도 특검법 재발의할 계획이다.
이어 "채상병 특검법에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이후 발생할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대통령이 져야 한다"면서 "계속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국민들과 함께 분명한 저항의 목소리를 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도 했다.
정의당은 "실소조차 나지 않는 재방송은 전파 낭비일 뿐이다"라고 했고, 개혁신당은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는 수준이라 더 새로운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관련기사
- 윤 대통령 "채상병 수사 지켜봐야… 납득 안 되면 특검 하겠다"
- 631일의 기다림…尹의 마이웨이 원칙만 재확인
- 기대 모았던 연금개혁 무산…허울 뿐인 특위
- 정부, 채상병 특검법 접수…尹, 15일 이내 거부권 행사 가능
- 벼랑 끝 몰린 尹…취임 2주년 회견으로 '소통 승부수' 통할까
- 尹, 민정수석실 부활…"'민심 청취 취약' 조언 받았다"
- [포토] 민주당 초선 당선인, 채해병특검법 즉각 공포...'국민의 명령'
- '취임 2주년' 尹 지지율 24%…역대 대통령 중 최저치
- 보이지 않는 협치…깜깜한 尹 정부 남은 3년
- 尹 정부 2년, 서민경제 파탄에 양극화 심화..."퍼펙트스톰 직면"
- 尹, 대통령실에 저출생수석실 설치 지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