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다우 1.7%↓, S&P 500 1.7%↑, 나스닥 2.3%↓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13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미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해제에도 급락 마감했다. 셧다운 재료는 소멸됐지만 인공지능(AI)거품론과 금리인하 기대감이 약해진 것에 대한 경계감을 드러낸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97.60포인트(1.65%) 하락한 47,457.22에 장을 닫았다.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13.43포인트(1.66%) 밀린 6,737.49에, 나스닥종합지수는 536.10포인트(2.29%) 급락한 22,870.36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간밤 임시 예산안에 서명하면서 셧다운이 해제됐다. 앞서 지난주 금요일 오후 일부 민주당 상원의원이 셧다운 해제를 위해 임시 예산안에 합의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주가지수는 급반등한 바 있다. 

이날 주가의 급락은 셧다운이 역대 최장인 43일을 끝으로 종료된 만큼 그간 지연된 주요 경기지표가 불확실성으로 남아 있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주요 인사의 매파적 발언이 누적되며 금리인하 기대감도 약해진 탓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에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을 48.1%로 반영했다. 호세 토레스 이코노미스트(인터랙티브브로커스)는 “투자자들은 연준 인사들의 연이은 매파적 발언과 기술주의 고평가 우려에 다시 초점을 맞췄다”고 분석했다. 

AI 거품론이 이제는 장기 테마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가운데, 이날도 투매 흐름 속에 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필리 지수)는 3.72% 폭락했다. 시가총액 1위 엔비디아가 3.58% 하락했고 브로드컴과 AMD, 인텔과 Arm, 램리서치도 각각 5% 안팎의 낙폭을 기록했다. 필리 지수를 구성한 30개 종목 모두 하락했다.

지난 9월 오픈AI와의 초대형 계약으로 하루 만에 36% 폭등하며 345달러까지 뛰었던 오라클 주가는 이날 4.15% 급락하며 217.57달러까지 내려앉았다. 

최천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