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19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기다리며 소폭 동반 상승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2.9%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03포인트(0.10%) 오른 46,138.77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24.84포인트(0.38%) 상승한 6,642.16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131.38포인트(0.59%) 오른 22,564.23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와 S&P 500지수는 5거래일, 나스닥은 3거래일 만에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그간 낙폭이 과도했다는 반발 매수 심리가 작용, 저가 매수가 유입되며 강세로 출발했다. 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필리 지수)도 한때 3.07% 급등했다.
크리스 세니엑 수석 투자 전략가(울프 리서치)는 “적어도 지금 단계에서는 AI 버블이 터질 것이라는 걱정이 지나치게 부풀려져 있다”면서 “AI 주식이 조정받을 때마다 계속 매입하는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경계감과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가 증시에 변동성을 불어넣어 장 중 약세로 돌아서는 등 크게 출렁거리며 상승분을 반납하기 시작했다.
애덤 턴퀴스트 전략가(LPL파이낸셜)는 “투자자는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올해와 내년 5천억달러의 주문이 있다고 밝힌 만큼, 앞으로 데이터센터 매출을 어떻게 전망하는지 특히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던 중 미국 노동통계국(BLS)이 10월 고용보고서 발표를 취소한다고 밝히자, 3대 주가지수가 일제히 약세로 전환하기도 했다. 이날 나온 10월 FOMC 회의록도 매파적이었다. 회의록에 따르면 많은(many) 참가자가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며 현행 금리를 유지하는 쪽에 손을 들어줬다.
장 마감 무렵 엔비디아 등 기술주 매수세가 유입되며 3대 주가지수 모두 소폭 동반 상승으로 거래를 마쳤다.
알파벳 A클래스는 3.00% 상승했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이 전날 출시한 AI 모델 제미나이가 시장의 호평을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테슬라는 로보택시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허가인 차량 호출 서비스를 애리조나주 주 정부가 허가하자 0.68% 올라갔다. 애플과 아마존도 각각 0.42%, 0.06% 반등에 성공했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 2거래일 동반 하락 마감…엔비디아 실적 발표 하루 앞두고 기술주 또 ‘팔자’
- [뉴욕증시] 엔비디아 실적 경계감 팽배…하락 마감
- [뉴욕증시] 셧다운 해제에도 AI 거품론·약해진 금리인하 기대감에 투매…급락 마감
- [뉴욕증시] 셧다운 임박…혼조 마감
- [뉴욕증시] 셧다운 기대감에 가파르게 오르던 3대 주가지수 혼조 마감
- [뉴욕증시] “엔비디아도 소용 없네”…‘AI 거품론’ 지속에 장중 급락 반전 후 동반 하락 마감
- 뉴욕증시,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반등 마감…다우 1.1%↑
- [뉴욕증시] AI 관련주 강세에 3대 주가지수 일제히 상승
- [뉴욕증시] AI 테마 기대감에 매수세 집중…강세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