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성장 동력 삼고 ‘SMART’로 시장 ‘문’ 두드려
‘주식’이라는 두 글자는 누구나 다 안다. 그런데 주식처럼 증시에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ETF’라는 세 글자는 들어는 봤어도 아직 잘 모르는 사람이 적잖다. 투자자들만 아는 ‘전문용어’에서 ‘익숙함’으로 다가오는 요즘이다.
1956년 자본시장의 문을 연 한국거래소와 1973년 창립한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1956년 3월 3일 한진중공업홀딩스, 유수홀딩스, 경방 등이 첫 상장된 이후 ‘주식’이라는 말이 내년이면 70년을 함께하게 된다.
이와 달리 2002년 10월 첫 등판한 ‘ETF’는 성인된 지 3년도 채 안됐다. 주식에 비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그해 열린 ‘한일 월드컵 4강 신화’를 등에 업고 매섭게 돌진하고 있는 ‘ETF’가 지난 6월 국내 순자산 총액이 200조원을 넘어섰고 7월에는 상품 1천개 시대를 열었다.
이 기간 운용사들이 국내주식형, 파킹형, 패시브형, 커버드콜, 테마형 등 여러 유형의 상품을 월 평균 3.8개 쏟아내며 개인과 기관투자자를 빨아들이고 있다. 이런 ‘ETF’가 어떻게 탄생해 진화, 현재 모습을 갖고 있는지 주요 운용사의 ‘ETF 브랜드 스토리(BS)’를 들여다본다. [편집자 주]
|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투자자 공감 스토리를 담는다.”
2014년 국내 ETF시장은 약 160여 종의 상품과 20조원 규모로 성장하며, 꾸준히 파이를 키워가는 중이었다. 특히 기존의 대표지수 추종형을 넘어 해외 부동산, 하이일드 채권 등 다양한 테마형 상품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세분화된 수요를 충족시키는 흐름이 뚜렷했다.
이러한 시장 환경과 변화를 파악한 신한자산운용은 ETF사업을 신규 성장 동력으로 삼고 그해 11월, ETF 브랜드 ‘SMART’를 전격 론칭, ETF시장을 노크하게 된다.
Simple(쉽고), Market Acces(시장 접근), Analytics(철저한 분석), Risk Management (리스크 관리), Transparency(투명성)의 머리글자를 합친 ‘SMART’는 ‘철저한 분석과 리스크 관리를 통해 쉽고 투명하게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ETF’를 뜻한다.
‘SMART’ 브랜드가 향한 시선은 중국이다. 국내 투자자에게 차별화된 중국시장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자 ‘SMART’ 브랜드 첫 상품으로 ‘SMART중국본토중소형CSI500‘ ETF (현 ‘SOL 차이나강소기업CSI500‘ ETF)를 출시한다.
이 상품은 중국 상해 및 심천증시에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을 제외한 중소형 강소기업 500개에 투자하고 중국 내수 중심의 성장 잠재력을 가진 기업들에 분산 투자하는 점이 핵심이다.
◆ 7년 간 지지부진…SOL 브랜드의 등판, “지주 정체성과 비전 녹여”
신한자산운용은 ‘SMART’ 브랜드가 세상에 나온 지 7년이 지난 2021년 9월, ETF 브랜드를 ‘SOL’로 리브랜딩하며 새로운 도약에 나선다.
브랜드 교체를 단행한 그해 말까지 상품수는 11개에 불과했다. 연 평균 1개도 못 미칠 정도로 사업에 큰 진전이 없었는데 이는 ‘SOL’의 등판을 알리는 계기가 됐고 곧 전화위복의 결과를 낳게 된다.
신한자산운용 관계자는 “‘SOL’은 단순한 브랜드 교체가 아닌, 신한금융그룹 완전 자회사 편입과 맞물려 그룹의 정체성과 비전을 ETF 사업에 녹여낸 전략적 결정이었다”고 말했다.
‘SOL’은 Speedy·Optimized·Leading의 약자로,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고객의 투자 목적 달성을 위한 최적의 수단을 제공하며, 혁신적 서비스로 투자자의 새로운 길을 열어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특정 자산이나 국가 지수를 단순히 추종하는 상품이 아닌 투자자가 공감할 수 있는 ‘내러티브(서사, 스토리)가 있는 투자’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 같은 철학을 바탕으로 ‘SOL’브랜드를 달고 나온 첫 상품은 ‘SOL 미국 S&P500 ESG’ ETF로, 투자 결정시 기업의 재무적 성과만이 아닌, 환경보호(E), 사회적 책임(S), 적정한 지배구조(G)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했다.
신한자산운용 관계자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미국의 대표지수인 S&P500에 ESG라는 건강함을 더한 투자,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투자”라고 말했다.
이 상품이 물꼬를 트면서 2022년 6월, 국내 최초 월 분배금 지급 ETF인 ‘SOL 미국 S&P500’ ETF를, 2023년 10월에는 조선업 슈퍼사이클을 선제적으로 반영한 ‘SOL 조선TOP3’ ETF를 출시했다. 이어 반도체·전력인프라·소프트웨어 핵심 기업에 투자하는 ‘미국 AI 시리즈’ ETF로 인공지능(AI)투자 열풍을 선도하며 차별화된 투자 기회를 제공해왔다.
◆ 론칭 4년…상품 6배 가까이 늘고 2년 연속 세 자릿수 성장률
‘SOL’의 이 같은 행보 결과는 상품수와 성장률을 통해 고스란히 드러났다. 론칭하던 해(2021년)말 11개에 불과했던 상품수가 지난 8월 기준 63개로 6배 가까이 늘어났고, 2023년(261%), 2024년(104.7%) 2년 연속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업계 전례 없는 속도로 성장했다.
회사는 대표 상품으로 ‘SOL 미국S&P500 ETF’, ‘SOL 소부장 ETF 시리즈’, ‘SOL 조선TOP3플러스 ETF’를 꼽는다.
‘SOL 미국S&P500 ETF’는 미국 배당성장주에 대한 젊은 개인투자자들의 수요에 맞춰 2022년 6월, 국내 최초로 월 분배금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2023년 4월 소재, 부품, 장비(이하 소부장)라는 키워드를 ETF 상품과 접목시켜 내놓은 ‘SOL 소부장 ETF 시리즈’(2차전지, AI반도체, 의료기기, 자동차)는 국내 소부장 기업에 집중 투자할 수 있다.
같은 해 10월, 국내 주요 조선사의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시화되던 시점에 맞춰 내놓은 ‘SOL 조선TOP3플러스 ETF’는 선구안이 빛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한자산운용은 투자자가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 담긴 상품을 개발하고, 자기주도적 투자자에게 효율적인 운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유튜브, 블로그, 투자 커뮤니티 등 다양한 채널에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2021년 3월 조직개편을 통해 설립된 ETF운용센터는 빠르게 성장하는 ETF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담 조직이다.
이 곳에서는 ETF 상품의 기획부터 운용, 투자자 컨설팅, 시장 분석, 투자자와의 소통까지 전 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신한자산운용 관계자는 “앞으로도 ‘SOL’ ETF는 투자를 통해 고객의 수익을 창출함과 동시에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ETF라는 철학 아래,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솔루션을 통해 투자자가 원하는 ‘스토리가 있는 투자’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그땐 그랬고 지금은_ETF BS]⑤ PLUS, 국보‘탑’의 기운이?
- [그땐 그랬고 지금은_ETF BS]④ “잘하고 계시죠?” 양종희 회장이 격려하는 ‘RISE’
- [그땐 그랬고 지금은_ETF BS]③ 국내는…TIGER “글로벌이 답”
- [그땐 그랬고 지금은_ETF BS]② 협업으로 시작, 달콤 씁쓸함 뒤로하고 ‘KINDEX→ACE’로 브랜드 파워 강화
- [그땐 그랬고 지금은_ETF BS]① “뭐 없나?”…외환위기속 국내 최초 타이틀 달고 피어난 ‘KODEX’
- [그땐 그랬고 지금은_ETF BS]⑦ ‘SF’ HANARO “사실상 막내…투자자에 가장 먼저·빨리 떠오르고 싶다”
- 신한 프리미어내자녀 금전증여신탁, SOL증권 앱 서비스 시작
- SOL 코리아고배당 ETF, 상장 첫날 1시간 만에 초기 물량 모두 소진
- [현장] 신한운용 'SOL ETF' 10조 돌파…"매년 2배씩 성장"
- 신한자산운용, ‘SOL 국제금 ETF’ 총보수 연 0.30%→0.05%로 대폭 인하
- SOL 팔란티어커버드콜 ETF 2종, 개인순매수 1300억 원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