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협력사 상장 2001년 46개에서 2023년 말 70개
"현대차·기아 협력사 신뢰도로 사업 확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한스경제=최창민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에 직접 부품을 납품하는 1차 협력사 가운데 237개 중소·중견기업의 2023년 매출액이 90조297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해 별도재무제표 기준 현대차 매출액(78조338억원)보다 12조원 이상 큰 규모다.

21일 현대자동차그룹에 따르면 이들 협력사의 매출액은 현대차·기아 합산 매출액(136조5537억원)의 66% 수준까지 증가했다. 2023년 매출액은 2001년(21조1837억원) 대비 326% 증가했다.

이번 매출액 분석은 현대차·기아의 국내 1차 협력사 중 현대차그룹 계열사와 현대차·기아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10% 미만인 업체, 원부자재, 화학, 설비 등 부품 비전문 업체를 제외한 237개 중소·중견 부품 업체들의 2023년 경영 실적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237개 협력사들은 매출액뿐 아니라 자산 규모, 부채 비율 등 지속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차그룹은 조사 대상 협력사의 기업별 평균 자산 규모가 2001년 509억원에서 2023년 3378억원으로 6.6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평균 부채 비율은 152%에서 110%로 42%포인트 내렸다.

개별 협력사의 대형화 추세도 이어졌다. 지난 2001년 733억원이었던 이들 협력사의 기업별 평균 매출액은 2013년 2391억원으로 증가한 데 이어 2023년에는 3810억원까지 늘었다. 이에 따라 매출액이 1000억원 이상인 협력사 비중은 2001년 21%에서 2023년 68%로 대폭 증가했다.

또 유가증권시장(KOSPI)이나 코스닥(KOSDAQ)에 상장한 협력 업체 수는 2001년 46개에서 2023년 말 70개로 늘었다. 같은 기간 이들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1조5000억원에서 17조4000억원으로 확대됐다.

한국 자동차 산업의 전체 규모 확대는 물론 국가 경제에 대한 기여도 이어졌다.

현대차그룹이 생산 품목별 직·간접 경제 파급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한국은행 산업 연관표 (2022년 연장표)를 활용해 분석 대상 부품 협력사 매출액(90조2970억원) 기준 국가 경제 파급 효과를 추계한 결과 생산유발효과는 237조8000여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55조6000여억원을 기록했다. 취업유발효과는 60여만명으로 집계됐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기아 협력사가 성장한 것은 현대차·기아의 글로벌 판매 증가에 따른 물량 확대와 함께 현대차·기아 협력사라는 신뢰도를 활용해 다른 해외 완성차 업체에도 공급량을 늘리는 등 다양한 매출원을 창출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창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