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탄핵 정국의 경우, 조기 대선 끝나면 코스피 회복
[한스경제=박영선 기자] 비상계엄 사태 후 국내 증시는 내리막길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비상 계엄 선포로 정치 불확실성이 급증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매도세를 이어가며 국내 증시를 떠나는 데다 투자자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51% 하락한 2429.36에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도 1.43%가 내린 661.32에 마감했다. 코리아밸류업지수도 전일 대비 1.32%가 내린 958.66에 마감하며 부진했다. 코스피 지수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 2.85% 내렸으며 코스닥 지수는 4.4%나 하락했다. 외국인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260억원을 팔고 나갔다.
밸류업 프로그램의 수혜 종목으로 지목됐든 금융주의 하락세도 가파르다. KRX은행지수는 3거래일 사이 79.8.pt(8.23%)나 하락했다. 2거래일동안 9%대 급락했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이은 주가 급락은 비상계엄 발동 및 해제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된 것과 밸류업 정책 이행에 대한 불안감에 기인했다"면서, "주요 은행주가 괄목할 만한 주가 상승을 나타낸 것은 주주환원 확대와 그에 따른 총주주수익률(TSR) 제고에 대한 기대감이었으나, 전향적인 자본정책 이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김 연구원은 "기존의 기대를 하회할 가능성이 생기면서 주가가 일부 조정을 받는 것은 합리적이나 기대 수익률을 고려하면 현 수준은 바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증권가는 장기 하락세가 지속됐던 증시에 사상 초유의 악재가 겹쳐 추가 하락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펀더멘탈에 직접적인 영향은 적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사태 수습 과정에서 탄핵안 발의와 의결 과정 등 정치적 불확실성의 여진은 불가피하다"면서, "그러나 계엄령 이상의 심리적 충격 유입은 어렵다고 판단하며, 예상치 못한 악재까지 반영한 코스피 추가 하락폭은 제한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비상계엄' 후폭풍이 거세지면서 증시는 변동성이 연일 확대되는 분위기다. 비상계엄은 국회의 요구에 따라 6시간 내에 일단락됐지만 45년만에 일어난 비상계엄 선포에 투심은 크게 흔들린 상태다.
그러나 증권가는 이전의 탄핵 정국 당시 증시가 단기간에 하락하는 타격을 입었지만, 해소된 이후 증시가 빠른 속도로 회복하면서 하락분을 상쇄한 데 주목했다.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탄핵안 발의에서 가결 기간동안 5.7%대 하락했다. 탄핵안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았던 만큼 이후 여당의 총선 승리 기간동안 10.3% 오르며 하락분을 상쇄한 바 있다.
아울러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코스피 지수는 국정개입 의혹 공론화 시점에서 탄핵안 발의에 이르기까지 4.1% 내렸다. 2017년 3월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인용되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직무 파면된 후 대선 이후 연말까지 코스피는 25.5% 상승하며 회복에 성공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탄핵 사태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이 커지면 주식시장에는 부정적이나, 우려가 해소되면 주식시장 낙폭은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또한 탄핵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따라 정치 불확실성 강도가 결정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될 확률과 정치 불확실성이 비례한다는 뜻이다.
하장권 LS증권 연구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국민들의 탄핵 비중이 65.2%로 반발이 컸다면, 박근혜 전 대통령 당시는 세월호 사태 등으로 국민 반발이 컸던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며, "노무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코스피 상승이 제한적이었으며 20거래일도 지나지 않아 상승 전환에 성공, 외국인 자금도 꾸준한 매수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박영선 기자 pys7106@sporbiz.co.kr
관련기사
- 尹정부 주도 밸류업, 계엄發 '빨간불' 켜지나 [The SIGNAL]
- 코스피 급락·환율 폭등·금리 충격...8년전 탄핵 악몽 재현되나 [The SIGNAL]
- 국내 증시에 찬물 끼얹은 '계엄령'...정치 불확실성 확대에 투심마저 돌아서
- 비상계엄 여파로 코스피 장 중 2%대 하락...외국인 매도세↑
- 비상계엄에 요동치는 환율...향후 물가에도 영향 '불가피'
- 금융권, 비상계엄 사태에 금융시장 안정 '총력'
- [포토] 로텐더홀 야6당 '윤석열 국회 출입 불허 시위'
- 코스피 장중 52주 신저가...'탄핵 부결' 불확실성에 낙폭 확대
- 증시, 투자자 투매에 '연중 최저'...연기금 매수 확대로 추가 방어 언제까지
- ‘비상계엄’에 움츠러든 국내 증시...미국 주식으로 달려가는 투자자
- 美 증시, 11월 소비자물가지수 시장 전망치 부합...나스닥 1.76%↑
- '동력 상실' 하락하는 밸류업 지수...리밸런싱으로 반등 가능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