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큰 병으로 생각되면 119에 신고"
의대증원 포함 의료계와의 대화에 열려있어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보건복지부 제공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보건복지부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의료 공백으로 인한 응급실 대란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가 6일 기준 응급실 405곳이 24시간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의료계를 향해 "정부는 2026학년도 의대 증원에 대해 논의할 자세가 돼 있다"고 했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전국 응급실 409곳 중 부분 중단한 4곳을 제외한 405곳이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응급실을 부분적으로 운영 중단한 곳은 전날과 동일하게 건국대충주병원, 강원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 이대목동병원이다.

응급실에 방문하는 경증·비응급 환자는 지난 4일 기준 6361명으로 평시 8285명 대비 77% 수준으로 집계됐다.

응급실에 방문한 전체 환자 수는 1만 5051명으로 평시 1만 7892명 대비 84%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 실장은 "국민 여러분의 협조로 경증 환자 내원이 감소해 응급실 내원 전체 환자 숫자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며 "큰 병이라고 생각되면 즉시 119에 신고해 안내에 따르면 된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응급의료 대란의 핵심원인으로 지적되는 배후진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필수의료에 대한 공정보상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정부는 의료계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에 대해서도 논의할 자세가 돼있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정 실장은 "정부는 언제나 의료계와의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있다"며 "2026년도 의대 정원을 포함해 의제와 형식에 구애 없이 논의가 가능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국민들을 향해서는 "국민 여러분의 협조와 의료진들의 헌신, 정부의 전방위적 지원이 합쳐진다면 지금 상황은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정부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