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전체 3만 6371개소 중 1643개소(4.02%) 휴진 신고
복지부, 18일 업무개시명령 내릴 예정
휴진 신고했어도 근무해야
복지부, 18일 업무개시명령 내릴 예정
휴진 신고했어도 근무해야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보건복지부가 대한의사협회가 주관하는 단체 휴진에 참여하기 위해 휴진 신고를 한 의료기관은 1463개소로 전체의 4.02%라고 밝혔다.
앞서 복지부와 지자체는 의료법 제59조제1항에 따라 총3만 6371개의 의료기관에 진료명령과 휴진신고명령을 내린 바 있다.
의료기관 중 치과의원·한의원은 제외되고 일부 병원급 의료기관이 포함됐다.
정부와 지자체는 오는 18일 전체 의료기관에 대해 의료법 제59조제2항에 따라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할 예정이다.
각 의료기관은 휴진 신고를 했어도 정당한 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당일에 진료를 해야 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사전 휴진신고율이 4.02%지만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자체와 협력해 집단행동 예고일인 6월 18일의 집단 휴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방침이다"며 "환자들의 지역 의료기관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진료 중인 병·의원을 안내하는 등 비상진료체계 운영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전시는 지난 12일에 관내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18일 당일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서울대·병원 교수들 "전체 휴진은 공익 위한 선택"…중증·희귀질환 진료 계속
- 환자 불안 관심 無…의료계 집단휴진 전 '알력 다툼'
- 세브란스 노조 "집단 휴진 협조 불가, 휴진 철회 해야"
- 중대본 "집단 휴진 예고한 의료계, 불법행위엔 엄정 대응"
- '내가 먼저다' 의대교수·대학병원, 환자 버리고 욕망 선택
- 빅5 병원 교수, 의협 '집단 휴진' 동참하나
- 서울대 총장 "휴진 보류는 굴복 아닌 희생…현장 지켜달라"
- 전공의 사직서 수리 금지 철회…의료계, 환자 볼모 역공
- 복지부 "집단 휴진 기간, 문 여는 병원 확인은 '응급의료포털'에서"
- 휴진 첫날 서울대교수들 "전공의 처분 취소해야 휴진 철회"
- 의협 집단 휴진 돌입, 의정 갈등 최고조
- 조규홍 "개원의 업무개명령 발령, 진료 거부시 처벌"
- 윤 대통령 "의료계 불법행위, 엄정 대응 불가피"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