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환자 마음 헤아리지 못해 죄송해"
중증·희귀질환 진료는 휴진 기간에도 지속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개편해야
서울대학교병원의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제공
서울대학교병원의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집단 휴진을 예고한 서울대의대·병원 교수들이 중증·희귀질환 환자의 진료는 계속 이어가겠다면서도 무기한 휴진이 공익을 위한 결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14일 서울대의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정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 중단을 뜻한다"며 "서울대병원의 진료가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은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전체 휴진을 시작으로 서울대병원이 전정한 최상급종합병원의 역할에 충실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대위는 "이런 변화로 병원의 수익이 감소한다면 이는 바로 우리나라 현재 수가체계의 문제를 보여주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앞서 서울대의대·병원 교수들의 단체 휴진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에게도 도와달라며 요청했다. 

비대위는 "이번 휴진 결정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현 의료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헤아려달라"며 "함께 환자를 돌보는 동료로서, 국립대병원 노동자로서 올바른 의료체계를 만들고자 하는 교수들의 노력에 함께 해주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정부를 향해서는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의 체제 개편과 의료계, 소비자, 정부 관계자로 이뤄진 협의체 구성을 요구했다.

비대위는 "전공의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전문의 중심의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달라"고 했다.

또한 "의료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정부가 모인 '상시적 의정협의체'의 구성과 운영을 서둘러달라"며 "논의 결과가 실제로 반영될 수 있는 법적인 보장, 정책 집행을 위한 안정적인 재원이 함께 명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계와 정책 결정권자가 아무런 조건을 내세우지 않고 먼저 만나도 좋겠다고 밝혔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