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오는 24일부터 정상 업무
"무능한 정부의 정책 받아들인 것 아냐"
국민 건강권 위협시 다시 적극적 행동 예고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제공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하기로 결의했다. 환자 피해가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을 우려해 오는 24일부터 정상 진료에 들어간다는 입장이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곳 병원의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지난 20일부터 양일간 휴진 여부에 대해 투표한 결과라고 밝혔다. 

투표 결과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대로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로 집계됐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55.4%는 범의료계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5.6%의 교수들이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 시간 조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앞서 서울대의대·병원 교수들은 지난 17일 정부의 의료개혁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 대상으로 내린 행정명령 취소와 의대 증원 사태 정상화를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바 있다. 

이에 따라 응급·필수 의료, 중증, 희귀질환 환자들에 대한 진료를 제외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시술이 전면 중단된 바 있다.

서울대병원은 빅5 병원 중 제일 처음으로 무기한 휴진을 결의하고 실행하면서 환자 단체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여기에 서울대병원 노동자조합은 휴진 협조 거부에 나서기도 했다. 

서울대병원 교수 비대위는 "우리가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라며 "무능한 정부의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면 휴진 기간에도 미룰 수 없는 중증·난치·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는 유지해 왔으나 현 상황이 장기화 되면 진료를 유지하고 있는 중증 환자에게도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앞으로 닥칠 의료계와 교육계의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며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고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