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근현 기자] 정부가 친환경 선박, 자율선박 등 첨단 해양모빌리티를 육성해 오는 2027년까지 한국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12%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해양수산부는 27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첨단 해양모빌리티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앞서 국제해사기구(IMO)는 오는 2050년께 국제 해운 분야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고, 이와 별개로 2028년 발효를 목표로 자율운항선박 표준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선박 관련 서비스는 친환경 기술과 자율운항 기술이 융합된 첨단 해양모빌리티로 재편되고 있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조승환 장관은 "육상에서 전통적인 자동차가 친환경·디지털 기술 접목으로 자율주행차, 전기차 등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처럼 바다에서도 기존 선박이 첨단 해양모빌리티로 재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세계 첨단 해양모빌리티 시장이 연평균 12%씩 성장해 오는 2027년 약 583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정부는 이 분야 시장 점유율을 지금의 1%(5조원)에서 2027년 12%(71조원)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2027년 국제 해운 분야 탄소 감축률을 30%로 설정했으며 2027년까지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원격 운항이 가능한 자율운항 선박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화석연료 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하면 보조금, 취득세 감면 등을 지원한다.
국가 주도의 친환경 선박 기술 연구개발(R&D)을 추진하고 수소, 암모니아 등 미래 연료 공급망과 기반 시설도 확충한다.
'미래형 선박'인 자율운항선박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자율운항선박이 주변 선박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위험성을 평가해 최적 항로를 선정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자율운항선박 시설기준, 직원 승무 기준 등 관련 제도를 개선한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관련기사
- 애플, '하남 스타필드'에 애플스토어 연다
- 코로나19 극복한 인천공항, 내년 항공기 운항 역대 최대 전망
- STX, 몽골서 희소금속 개발 MOU 체결
- 국제해양법 학술회의...“동북아해역도 세계해양질서 변화 대응 시급”
- 정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등 MDB 조달시장 진출 한국 기업 지원
- FRP 대체할 친환경 선박소재 HDPE 전문기술 인력 양성
- 한-미 녹색해운항로 구축 명시화…2028년께 시범운항 목표
- 컨트롤웍스, 아비커스 선박에 ‘자율주행 조향 액츄에이터’ 공급
- 빈센, 알루미늄 소재 유람선에 ‘전기 추진 시스템’ 공급
- 내년 선원 최저임금 월 256만1030원...2.95% 인상
- 해외 항만간 친환경선박 급유 경쟁…한국은 이제야 속도
- 빈센, 해상 연료전지 분야서 150억원 시리즈C 투자 유치
- 올해 친환경 선박 전환에 2422억원...전기추진·하이브리드선 건조
- 산업부, 올해 친환경선박 기술개발에 1661억 투자...역대 최대
- 韓 원천기술 자립도 계속 위축…“글로벌 기술협력 생태계 시급”
- 해수부, IMO와 런던서 ‘자율운항선박 정책토론회’ 공동 개최
- K-조선이 선점한 자율운항선박 기술...정작 선원들은 '갸우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