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우정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친환경선박 기술개발에 역대 최대규모인 1661억원을 투자한다고 26일 밝혔다.
산업부는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과 ‘제1차 친환경선박 개발·보급 기본계획(2021~2030)’에 따라 ‘2024년 친환경선박 개발 시행계획’을 공고했다. 산업부는 '친환경선박 개발 시행계획’을, 해수부는 ‘보급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하고 있다.
산업부는 올해 총 91개 추진과제에 1661억원을 지원한다. 이는 전년보다 14.2% 증가한 규모이다.
정부는 지난 11월 발표한 ‘K-조선 차세대 선도전략’ 이행을 위한 과제들을 반영해 수소·암모니아 등 선도기술 확보, 시험기반 구축, 실증 프로젝트 추진, 전문인력 양성 분야 등 생태계 전주기에 걸쳐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미래 친환경선박 세계 선도기술 확보를 위해 55개 과제에 총 752억원을 투자한다. 암모니아·수소 등 무탄소연료를 사용하는 추진시스템 개발과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기술 확보를 위한 부품 개발,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과 메탄올 추진선의 핵심기자재 개발을 신규 지원한다.
신기술 확산을 위한 시험기반 구축을 위해 총 13개 과제, 484억원이 투입된다. 올해부터 암모니아 추진 기자재 실증 인프라, 선박용 액화수소 부품 시험센터, 통합전기추진체계 안전성 시험평가 시설을 신규 구축한다.
한국형 실증 프로젝트인 ‘그린쉽-K’ 지원을 위해서는 20개 과제와 296억원이 제공된다. 올해는 세계 최초 액화수소 운반선 상용화를 위해 시험선 건조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다목적 해상실증선박 건조가 완료될 예정이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3개 과제 129억원을 지원한다. 올해는 미래 융합형 교육을 위한 ‘미래 혁신 인재 양성센터’가 판교와 거제에 신설될 계획이다.
산업부는 올해 상반기 중 자율운항선박 상용화, 조선산업 디지털전환 등 미래 선박 시장 주도권 확보와 주력산업 대전환을 위한 ‘K-조선 초격차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우정 기자 yuting4030@sporbiz.co.kr
관련기사
- 올해 친환경 선박 전환에 2422억원...전기추진·하이브리드선 건조
- 해외 항만간 친환경선박 급유 경쟁…한국은 이제야 속도
- K-조선 초격차 기술 얼라이언스 출범
- 한화오션,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업계 최고 ESG 목표
- 그린수소 해상운송연료, 액체수소 vs 암모니아...“현재 우위 판단 어려워”
- 정부, 친환경선박·자율선박 등 해양모빌리티 세계 점유율 12% 목표
- 목전까지 따라온 中 조선, 탄탄한 청정연료 투자로 경쟁력까지 확보해
- [포토] AI 의료제품 글로벌 규제 심포지엄 'AIRIS 2024 개막'
- [포토] 대통령실 앞에서 변희수 하사 3주기 추모
- 정부, 산업·에너지 R&D 참여 '신진연구자' 풀 구축
- 정부, 용인 반도체단지 등 첨단특화단지에 전력 적기공급 TF 발족
- 산업장관, 美상무장관에 IRA‧반도체법 보조금 협조 요청
- HD현대, 액화가스선 저장탱크 신기술 개발...하반기 적용
- 정부, 수출 7000억달러 총력…반도체 1200억달러·車 750억달러 목표
- HD현대, 지멘스와 ‘조선 설계-생산 통합 플랫폼’ 구축 가속화
- 대산항에 청정복합에너지 클러스터…친환경연료 생산부터 유통까지
- 올해 첫 인천항-동남아 항로 개설, 연간 물동량 6만TEU
- K-조선에 5년간 9조원 투자...민관, 미래 초격차 확보나서
- 해수부, IMO와 런던서 ‘자율운항선박 정책토론회’ 공동 개최
- K-조선이 선점한 자율운항선박 기술...정작 선원들은 '갸우뚱'
- 친환경선박 도입, 진단부터 금융까지 원스톱으로 통합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