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난해 기후재해로 5000만명 이상 영향...경제적 피해 46조 달해 
기후위기 극복 캠페인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는 초등학생들 모습.(사진=연합)
기후위기 극복 캠페인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는 초등학생들 모습.(사진=연합)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아시아 지역의 온난화가 2배 빨라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로 인한 재해도 빈발하면서 식량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27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가 발표한 아시아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 평균 기온이 역대 기록 가운데 2∼3번째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1∼2020년 평균 기온보다 0.72도 높은 수치다.

특히 1991∼2020년 아시아 평균 기온은 1961∼1990년보다 1.68도가량 높아졌다. 최근 30년간 아시아 지역의 온난화 추세가 그 직전 30년의 2배에 이를 정도로 빨라진 것이다. 

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온도도 급상승하고 있다. 아라비아해 서북부와 필리핀해, 일본 동쪽 해역의 온도가 최근 10년 사이 0.5도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 해양 표층의 온난화 속도보다 3배가량 빠른 것이라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급격한 온난화는 자연재해를 초래하면서 막대한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보고서는 지난해 아시아에서만 기후 관련 재해가 81건 발행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83% 이상이 홍수와 폭풍이다. 그 결과 5000명 이상이 목숨을 잃고 5000만명 이상이 재해 영향을 받았다. 경제적 피해는 360억달러(약 45조9000억원)에 달한다. 

문제는 이로 인한 식량 위기다. WMO는 “아시아 지역의 온난화와 기후변화는 농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기상을 모니터링해 자연재해를 조기에 경보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농업과 식량 안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세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