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온난기보다 온난화 겪고 있는 현재 지구온도가 더 높아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현재의 지구 온도가 1200년간 지표면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간 시기와 비교해도 가장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일(현지시간) 스위스 연방 연구기관 '숲·눈·경관 연구소(WSL)'는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한 보고서에서 온실가스 배출 등 영향으로 현재 온난화한 지구 온도가 중세 이후 전례가 없게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스칸디나비아반도 일대와 핀란드·스코틀랜드 등지에 퍼져 있는 소나무 188그루를 분석했다. 그 중에는 수명이 1200년 가까이 된 나무들도 있었다.
연구진은 나무들의 나이테에 있는 세포 5000만개에서 세포벽 두께 등을 측정했다. 나무 나이테에 있는 세포에는 형성 당시의 온도와 그 변화폭을 가늠할 수 있는 정보가 담겨 있다.
연구진은 "나이테의 밀도만 기준으로 삼으면 온도 외에 다른 변수의 영향까지 받게 돼 탄소 안정 동위원소 분석 등 다각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추출된 나이테 정보를 토대로 나무가 서식한 지역의 온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오늘날 지구온도는 지난 1200년간의 자연적 온도 범위를 벗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현재 지구 온도가 이전 시기보다 큰 격차를 두고 높아졌다는 얘기다.
연구진은 나이테 속 온도 정보를 볼 때 지구온난화 시기로 불리는 현재보다 중세 온난기(MWP)가 기온이 더 낮았다고 설명했다. 중세 온난기는 950년경부터 1250년까지 유럽과 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평균 기온이 섭씨 2도(℃) 가량 높아진 기간이다.
연구진은 "중세 온난기가 이전에 생각했던 만큼 따뜻하지 않았다는 증거가 이번 연구에 담겨 있다"며 "적어도 지난 1000여 년간 현재의 온난화가 전례가 없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용 기자 dy0728@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