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0.1%↓, S&P 500 0.0%↑, 나스닥 0.3%↑
|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무역협상을 매듭지었지만 28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대형 기술기업(M7)의 2분기 실적 발표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정례회의 등 ‘빅위크’에 대한 경계심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4.36포인트(0.14%) 내린 44,837.56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13포인트(0.02%) 상승한 6,389.77에, 나스닥종합지수는 70.27포인트(0.33%) 오른 21,178.58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S&P 500과 나스닥은 각각 6거래일, 4거래일 상승세를 기록하면서 또 최고 종가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뉴욕증시는 장 초반 미국과 EU가 자동차를 포함한 EU 대부분의 상품에 관세(15%)를 부과하기로 했다는 무역협정 체결 소식에도 강보합권에 움직였다. 다니엘 스켈리 매니징 디렉터(모건스탠리자산운용)는 시장의 분위기에 대해 “관세가 가져올 총제적인 영향은 아직 미지수”라고 밝혔다.
◆ ‘빅위크’…“시장 모멘템의 성패 좌지우지”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분을 반납하기 시작했는데 30일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플랫폼스, 31일 애플과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다가오고 있고 29일과 30일에 진행되는 FOMC 정례회의 결과 등에 대한 경계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31일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8월 1일 7월 고용보고서 등 경제지표 발표도 예정돼 있다. 크리스 라킨 트레이딩 헤드(모건스탠리 e트레이드)는 “시장은 이번 주에 가장 바쁠 것”이라면서 “단기적으로 (주식시장) 모멘텀의 성패를 가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S&P 500과 나스닥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데 따른 고점 부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S&P 500지수는 이날 장중 사상 처음으로 6,400선을 돌파하기도 했지만, 경계감이 팽배해지자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했다. 종가는 상승 마감하며 6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탔다.
애덤 턴퀴스트 수석 기술 전략가(LPL파이낸셜)는 “5일 연속 최고치 행진 이후 역사적 수익률을 보면, 주가가 추가 상승에 앞서 숨 고르기(조정)에 들어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는 주당 176달러를 넘어서며 1.87% 올랐다. 테슬라는 삼성전자와 165억달러 규모의 파운드리 계약을 체결한 후 3.02% 급등했다.
아마존과 메타플랫폼스는 각각 0.58%, 0.69% 오른 반면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A주), 애플은 각각 -0.24%, -0.31% 떨어졌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알파벳’ 견고한 성장에 기술주 실적 긍정적 신호…강보합 마감
- [뉴욕증시] S&P 500, 올해 12번째 최고치 경신…강세 마감
- [뉴욕증시] 우량주는 ‘탄력’, 반도체주는 ‘매도’…혼조 마감
- [뉴욕증시] 美 ‘빅테크’ 기업 실적 낙관론 부상…강세 마감
- [뉴욕증시] 기업 2분기 호실적, 소비 지표...강세 마감
- [뉴욕증시] 美·주요국 대부분 무역합의에 동반 약세 마감
- [뉴욕증시] 美 연준 기준금리 또 동결…약세 마감
- [뉴욕증시] ‘4조달러 클럽’ MS 차익 실현…약세 마감
- 美 고용 사정 악화에 뉴욕증시 3대 지수 하락
- [뉴욕증시] 고용시장 악화가 기준금리 인하 부채질?…하루 만에 반등 마감
- [뉴욕증시] 美 경제 핵심축 서비스업 PMI지수 여파에 동반 하락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