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미국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본격 시작되는 가운데 이번 주부터 예정된 빅테크 기업의 실적에 대한 낙관론을 키우면서 21일(이하 현지시간)뉴욕증시가 강세 마감했다. 특히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12포인트(-0.04%) 내린 44,323.07에 약보합세로 거래를 끝냈다.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81포인트(0.14%) 오른 6,305.6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78.51포인트(0.38%) 오른 20,974.17에 각각 장을 마쳤다.
S&P 500 지수가 6,300선을 넘어 마감한 건 사상 처음이다. 나스닥 지수는 6거래일 연속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최대 이동통신사 버라이존이 4%이상 상승한 실적을 발표하는 등 기대를 웃도는 실적에 이어 이번 주부터 예정된 빅테크 기업에 대한 실적 낙관론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의 분석에 따르면 이날까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S&P 500 지수 구성 기업 62곳 중 85% 이상이 전문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냈다. 이 회사의 존 버터스 수석 애널리스트는 ‘M7’ 기업들이 2분기 중 14%에 달하는 평균 주당 순이익 증가율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트루스소셜의 모기업 ‘트럼프미디어’는 20조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취득했다는 발표에 3.11% 상승했다. 트루스소셜의 대주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다.
톰 하인린 투자전략가(US뱅크 웰스매니지먼트)는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이전 분기에 내놓은 실적 전망을 충족하거나 상회하는 성과를 보였다“면서 ”기업 이익이나 소비지출 부문에서 어떠한 악화 징후도 포착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기업 2분기 호실적, 소비 지표...강세 마감
- [뉴욕증시] 트럼프 거침없는 입담,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들었다놨다’…출렁 후 반등 마감
- [뉴욕증시] 다소 허 찔린 6월 CPI, “관세가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 확인”…혼조 마감
- [뉴욕증시] ‘나쁜 관세, 좋은 재료’…강세 마감
- [뉴욕증시] ‘브라질 50% 서한’에도 귀담아듣지 않고 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우량주는 ‘탄력’, 반도체주는 ‘매도’…혼조 마감
- [뉴욕증시] S&P 500, 올해 12번째 최고치 경신…강세 마감
- [뉴욕증시] ‘알파벳’ 견고한 성장에 기술주 실적 긍정적 신호…강보합 마감
- [뉴욕증시] 美·EU 관세 15% 타결에도 ‘혼조’ 마감
- [뉴욕증시] 美·주요국 대부분 무역합의에 동반 약세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