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소비·수출 증가…건설·투자설비는 부진
|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 올해 2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반도체 수출 호조와 소비 회복의 영향 등으로 1분기보다 0.6% 성장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5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2분기 실질 GDP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은 0.6%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5월에 발표한 전망치(0.5%)를 소폭 상회한 것이다.
부문별로 소비와 수출이 개선됐다.
민간소비는 재화(승용차 등)와 서비스(오락문화 등) 소비가 모두 늘어 0.5%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를 중심으로 1.2% 늘었다. 2020년 4분기 이후 4년 6개월 만에 최고치다.
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제품 등의 호조로 4.2% 증가했다. 증가폭은 2020년 3분기(+14.6%)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수입은 에너지류(원유·천연가스 등)를 중심으로 3.8%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토목 건설이 부진하며 1.5% 감소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의 기계류와 선박 등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1.5% 줄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1.3% 증가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6%)을 상회했다.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한국은행은 지난 1분기 역성장(-0.2%)의 기저효과가 일부 작용했고, 미국 정부의 관세 영향은 시차와 우리기업의 대응에 따라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