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신연수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바다가 펄펄 끓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은 과학조사선과 인공위성에서 관측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우리 바다의 평균 표층 수온이 관측 사상 역대 최고치였던 2023년 기록을 다시 경신했다고 밝혔다.
관측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바다의 연평균 표층 수온은 섭씨 18.74도로, 최근 57년간 관측된 수온 중 가장 높았다. 이는 이전 최고 기록인 2023년의 섭씨 18.09도보다 0.65도 상승한 수준이다.
해역별로는 ▲동해 섭씨 18.84도 ▲서해 섭씨 17.12도 ▲남해 섭씨 20.26도로 나타나 모든 해역에서 역대 최고 수온을 기록했다.
또한 인공위성을 통해 관측한 우리나라 주변 광역해역의 연평균 표면수온도 섭씨 21.11도로 최근 25년 중 가장 높았다. 해역별로도 ▲동해 섭씨 16.31도 ▲서해 섭씨 16.80도 ▲남해 섭씨 21.72도로 역시 모든 해역에서 최고치를 찍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해 우리 바다 주변의 표층 수온이 이례적으로 높았던 원인으로 지구온난화의 가속화, 여름과 가을 사이 한반도 주변에서 지속된 강한 폭염과 함께 적도 인근 저위도에서 유입된 해류에 의한 열 공급 증가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 10일 올해가 근대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보인 해로 확정됐으며, 전 세계 해양의 표층 수온과 해양열용량 역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구과원의 기후변화 감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 바다의 해양온난화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수산 분야의 기후변화 감시·예측과 고수온 내성 양식품종 개발 등 종합적인 기후변화 적응 기술개발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