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은 올해보다 2만호 늘린 7만호 이상 추진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정부가 내년도 공공주택 공급 목표 물량을 역대 최대 규모인 25만2000호 규모로 추진하겠다고 12일 밝혔다.
국토부는 12일 오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본부에서 LH, 서울주택도시공사(SH), 경기주택도시공사(GH), 인천도시공사(iH),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및 한국부동산원과 주택공급 공공기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공공기관별 주택공급 실적을 점검하고 내년 공급계획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토부는 올해 건설형 공공주택(공공분양, 공공건설임대) 착공 5만1000호, 인허가 14만호를 목표로 매달 관계기관 점검회의 등을 개최해 공급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전했다.
점검 결과 착공은 지난해 실적(1만8000호)의 3배 가까운 총 5만2000호에 대한 발주를 완료했고, 대부분 시공사까지 선정돼 연내 착공을 위한 마지막 절차를 추진 중이다.
인허가는 LH, SH, GH, iH에서 담당하고 있는 물량(12만9000호) 대부분이 신청 완료돼 목표 이행을 위한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달 말 기초 지방자치단체 정비 물량까지 포함해 실적이 집계될 예정으로, 작년 실적(7만8000호)의 2배 수준인 14만호 인허가를 위해 국토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도 공공주택 공급은 무주택 서민과 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강화하고, 민간의 공급위축을 적극 보완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25만2000호 공급을 목표로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건설형 공공주택 인허가 14만호 △매입임대 약정 체결 6만7000호 △전세임대 계약 체결 4만5000호 등이다.
먼저 건설형 공공주택은 당초 계획(13만5000호) 대비 5000호를 추가해 14만호 인허가를 추진하고, 착공도 올해 대비 2만호 가량 늘어난 7만호 이상 착공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택공급 상황을 조속히 개선하기 위해 계획물량의 20% 이상은 상반기 내에 인허가 승인 신청 또는 착공을 추진한다.
신축매입임대는 내년까지 수도권 중심으로 11만호 이상 공급한다. 이달 초 기준 21만호 이상 신축매입약정이 신청됐고, 매입심의 등 후속절차를 진행 중이다.
실제 지난 11월 입주자를 모집한 서울 소재 분양전환형 든든전세주택은 평균 311대 1이라는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가운데, 정부는 국민 선호도가 높은 역세권 아파트 등을 포함해 중형 평형 위주로 본격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난 10월 부동산원 추산 기준 내년 서울시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4만8000호 수준으로, 10년 평균 수치(3만8000호)에 비해 많은 수준이라며, 아파트에 비해 신속하게 입주할 수 있는 신축매입임대까지 본격 공급해 국민들에게 지속적인 주택공급 확신을 부여하겠다고 했다.
또 3기 신도시 등 공공택지의 경우 지구계획 변경을 통해 올해 1만7000호를 추가 확보했다며, 내년에는 1만8000호를 추가 확보하는 등 토지이용효율화를 통해 계획 변경을 차질 없이 추진, 2027년까지 5만호를 추가 확보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공공주택 공급뿐만 아니라 민간의 공급여건 개선도 적극 지원한다. HUG와 HF는 총 35조원을 목표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보증 공급 등을 통해 민간에 원활한 자금조달을 지원하고, 부동산원은 올해 신설된 공사비검증지원단 및 공사비계약 컨설팅팀 등을 통해 공사비 분쟁 예방 및 해소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민생안정의 핵심인 주거 양극화 해소를 위해 끝까지 최선을 기울이고,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공공기관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줘야 한다"며 "남은 한 달 동안 올해 공급목표 달성에 차질이 없도록 이행상황을 촘촘하게 관리하고, 앞으로도 국민 주거안정이 최우선 목표라는 각오로 업무에 임해달라"고 말했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