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 기간 긴 남성‧고령 취약
“불필요한 입원 지양해야”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병원에 입원하면 100명에 1명꼴로 폐렴이 발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빅데이터 기반 병원획득 폐렴 분석 사례’에 따르면 지난 2023년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은 1.13%로 추정됐으며 지난 2021~2022년 일시적으로 증가한 후 2023년에는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비청구자료를 활용해 병원획득 폐렴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것으로 지난 2023년 발생한 1265만6490건의 입원 중 4일 이상 입원 548만9733건(전체 입원의 43.4%)을 대상으로 병원획득 폐렴을 평가했다.
지난해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은 요양기관종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요양병원(5.04%, 정신요양병원 포함) ▲병원(0.80%) ▲상급종합병원(0.57%) ▲종합병원(0.45%) ▲의원(0.18%) ▲한방병원(0.05%) 순으로 요양병원이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요양병원은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환경의 집단시설이며 입원 환자의 대부분이 감염에 취약한 노인이기 때문에 병원획득 폐렴 발생 위험은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성별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은 남성 1.23%, 여성 1.04%로 남성의 발생률이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도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80세 이상에서 추정된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은 3.10%로 고령일수록 발생률이 높아지는 추이를 보인다.
입원 기간이 길수록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도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며, 300일 이상 입원의 병원획득 폐렴 발생률은 7.17%로 가장 높았다. 입원 기간이 길어질수록 환자가 병원획득 폐렴에 노출될 위험성을 높여 환자의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연구개발실은 “이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수준의 병원획득 폐렴 규모를 추정한 세계 최초의 연구”라며 “2023년 입원으로 인한 병원 내 폐렴 발생은 100건당 1건 수준(1.13%)으로 추정되고 요양병원의 발생률은 5.04%로 가장 높아 요양병원의 감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입원기간이 길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의 입원으로 인한 폐렴 발생률이 높은 것을 확인했으며 선행연구에서는 병원 내 폐렴 감염에 따른 사망률이 10%가 넘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병원 내 감염에 취약한 노인환자 등은 입원으로 인해 건강상태가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여러 제도적 지원을 적극 활용해 요양병원 내 감염 발생 모니터링 및 예방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용자 역시 불필요한 입원을 지양하고 특히 장기입원을 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동주 기자 ed30109@sporbiz.co.kr
관련기사
- 장기요양시설 노인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 86.8%
- BMI 25, 사망위험 가장 낮아…비만 기준 27로 높여야
- [2024 국정감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10년째 40%…“지역별 수가 조정 필요”
- 건보공단서 못 돌려받은 치료비 올해만 약 5000억…‘왜?’
- 11월부터 새 소득‧재산 반영 건강보험료 산정…평균 8만7299원
- 6세 미만 영유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증가세
- 복지부 "코로나 20만명 규모 유행 예상…예방책 마련"
- 올해 부당청구 장기요양기관 신고인에 총 8억1600만원 포상금 지급
- 지난해 주요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총 63만 800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