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크레딧 등 지원 규모 전체 6% 수준
김윤 의원 “이것이 최선인가” 질타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이른바 ‘국민연금 사각지대’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지만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국민연금공단의 대책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국회에서 국민연금공단·한국사회보장정보원을 대상으로 한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현 정부의 연금개혁안을 보면 65세 이상 노인 중 국민연금 수급자는 53%에 불과하나 사각지대 개선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른바 ‘연금 사각지대’는 국민연금에 가입 하지 못했거나 가입을 했어도 보험료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을 이 같은 가입 사각지대는 결국 수급 사각지대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김 의원은 “연금 사각지대 규모는 1034만명에 달한다. 가입 대상자가 3000만명인 것을 감안할 때 3명 중 1명은 연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전 국민 연금이 아니라 3분의 1 국민연금이다. OECD 가입 국가는 보통 80~90%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가 어려운 실업기간에 대해 구직급여 수급자가 연금보험료 납부를 희망하는 경우,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하고 그 기간을 국민연금 가입기간으로 추가 산입하는 ‘실업크레딧’ 제도의 지원 규모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의원은 “공단의 보험료 지원, 실업크레딧 제도 등을 합쳐보니 (대상자가) 59만명이었다. 연금 사각지대 규모가 1034만명에 달하는데 이 중 6%를 지원 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연금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공단의 부족한 재정 규모도 문제였다. 김 의원은 “문제 해결을 위한 공단이 준비한 9000억원은 많은 것 같지만 전체 예산 44조원을 기준으로 보면 0.3% 뿐”이라며 “사각지대 문제가 심각한데 이것이 최선이 맞나”라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김태현 국민연금공단이사장은 “부족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고 답했고 김 의원은 “진지한 개선방안을 마련해서 실질적인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보고해달라”고 했다.
김동주 기자 ed30109@sporbiz.co.kr
관련기사
- [2024 국정감사] 자금난 겪는 바이오벤처…정부 육성 지원 미흡
- [2024 국정감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10년째 40%…“지역별 수가 조정 필요”
- [2024 국정감사] 정기석 건보공단 이사장 "의료대란 건보재정 투입, 문제 없어"
- [2024 국정감사] ‘키 크는 주사’ 오남용‧부작용 심각…실태조사 필요
- [2024 국정감사] 박민수 복지부 차관 "의료대란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
- [2024 국정감사] 노인일자리 103만개, 수요 충족율은 45%에 불과
- [2024 국정감사] “피씨엘 대표, 국감 증인 빼달라 청탁…고발 불가피”
- 복지부, 국민연금·기초연금 2.3% 인상…기초연금 기준액 34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