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결핍 없다면 효과 미입증
부작용 5.1배↑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이른바 ‘키 크는 주사’의 오남용이 증가하고 있어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0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이른바 ‘키 크는 주사’의 오남용 문제에 대해 질의했다.
김 의원은 이날 소아의 성장부전 또는 특발성 저신장증(ISS) 치료제로 쓰이는 ‘유트로핀에스펜주’의 실물 제품을 직접 들고 “과용과 부작용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키 크는 주사는 지난 2018년 총 5만5075건 처방된 것에 이어 2023년 24만7541건 처방되며 지난 5년간 4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키 크는 주사를 처방받은 환자는 주로 10~14세 구간으로 2018년 45.9%에서 2023년 62.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무분별한 처방으로 인한 오남용과 부작용이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의료기술 재평가보고서-소아 청소년 대상 키 성장 목적의 성장호르몬 치료’ 보고서에 따르면 저신장과 관련한 질병이 없고 키가 하위 3%에 속할 정도로 작지 않은 경우, 성장호르몬 치료의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
키 크는 주사 처방이 늘면서 부작용도 늘어나고 있었다. 식약처가 제출한 ‘성장호르몬 주사 관련 이상 사례’에 따르면 부작용 건수는 지난 2018년 318건에서 2023년 1626건으로 5.1배 증가했다.
처방량이 늘어난 것에 비해 식약처의 불법광고 적발 건수는 지난 2022년 11건에서 지난해 3건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김 의원은 “올해 식약처가 성장호르몬제 기획합동감시를 했지만 의료기관‧약국 55곳만 반짝 점검했고 시정조치도 현재 대기실에 있는 광고 폐지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부정확한 정보와 과대광고로 아이들의 건강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공단과 협업해서 비급여 오남용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같은당 전진숙 의원도 “성장호르몬이 부족한 아동에게만 써야 되는데 학부모들 사이에서 키 크는 주사로 인기를 끌면서 성장결핍이 없어도 처방이 되고 있어 부작용 문제가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전 의원실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주사 치료제 주요 이상 사례로는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주사 부위 통증, 주사 부위 출혈, 주사 부위 타박상 등) ▲감염 및 기생충 감염(바이러스 감염, 비인두염, 인플루엔자, COVID-19 등)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두드러기, 발진, 소양증, 홍반 등) ▲각종 신경계 장애(두통, 어지러움, 졸림, 감각 저하 등)가 보고됐다.
특히 중대 이상사례 보고 건수가 크게 늘었다. 지난 2021년 32건이었던 중대 이상사례가 2023년 113건으로 약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기준 중대 이상사례는 81건으로 이미 전년도의 절반을 넘어섰다.
오 처장은 “실태조사는 복지부 소관이나 같이 협력해서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김동주 기자 ed30109@sporbiz.co.kr
관련기사
- [포토] 보건복지위 국정감사, 답변하는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2024 국정감사] 유럽 신종마약, 법 사각지대…잡아도 처벌 못해
- [2024 국정감사] 박민수 복지부 차관 "의료대란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
- [2024 국정감사] ‘이재명 응급헬기 특혜 논란’ 여야 치열한 공방
- [2024 국정감사] 의대교육 6년→5년 감축 논란…복지부 장관 “반대하지 않겠다”
- 질병청 등 감염병 대유행 대비 7개 기관 공동 협약식 개최
- 건보공단서 못 돌려받은 치료비 올해만 약 5000억…‘왜?’
- [2024 국정감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10년째 40%…“지역별 수가 조정 필요”
- [2024 국정감사] 자금난 겪는 바이오벤처…정부 육성 지원 미흡
- [2024 국정감사] ‘3명 중 1명’ 국민연금 사각지대…공단 지원 턱없이 부족
- 골다공증 통증 주사도 사라진다…의약품 공급 부족 대책 없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