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4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4년 8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8월 경상수지는 66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지난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9000만달러)를 기록한 뒤 5월(89억2000만달러)에 반등한 뒤 6월(125억6000만달러), 7월(89억7000만달러)에 이어 4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1∼8월 누적 경상수지는 536억달러 흑자로, 지난해 동기(106억 7000만달러) 보다 429억3000만달러가 증가했다.
8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경상수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가 65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4월 이후 17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수출이 574억5000만달러로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1%, 수입은 508억6000만달러로 4.9% 증가해 65억 9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통관기준 수입 품목별로, 정보통신기기(44.0%)·반도체(38.3%) 등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크게 늘었으며 지역별로는 EU(16.1%)·동남아(15.3%)·미국(11.1%)·중국(7.9%)·일본(6.6%)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이어졌다.
통관기준으로 수입 현황을 보면, 품목별로 원자재·자본재·소비재 모두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원유(30.1%)·석유제품(13.4%)·수송장비(46.0%)·반도체(18.7%)·귀금속 및 보석류(282.1%) 등의 수입이 크게 늘었다.
8월 서비스수지는 여행(-14.2%), 가공서비스(-6.6%) 등을 중심으로 12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8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이며 적자폭은 7월(-23억8000만달러), 지난해 8월(-15억5000만달러)보다 축소됐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16억9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으며, 이전소득수지는 4억6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은 49억3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에서 내국인 해외투자는 44억6000만달러, 외국인 국내투자는 12억1000만달러가 늘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86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외국인 국내투자는 채권을 중심으로 26억2000만달러 늘었다. 이 같은 흑자 기조가 모조건 반가운 일은 아니다. 반도체에 크게 치우쳐 있는 수출 구조는 제조업 제품 가격이 떨어질 경우 위기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서비스수지가 28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이란 점은 더욱더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 NH농협금융, 녹색금융 통한 기후대응 박차
- [신한은행 정상혁號 순항]① 2분기 연속 '리딩뱅크'…내부통제·소비자보호 강화
-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1.6%…3년 7개월 만에 최저
- 하나은행, '은행 최초' AI 기반 기술력 기반 ML모형 개발
- 카카오뱅크, 국제 클라우드 보안 관리체계 인증 획득
- [신한은행 정상혁號 순항]② 국내 경영혁신 총력…채널별 차별화에 집중
- KB국민은행, 경기도 KB굿잡 페스티벌 개최… 200여 개 기업 참가
- 금융권, 5년 6개월간 접대비 2.4조 지출…은행 9578억원
- IBK기업은행, 소상공인 위한 종합지원대책 실시
- IBK기업은행, 6년간 마케팅 사업으로만 172억 집행
- 7년간 금융사고액만 6617억…은행 4097억원으로 압도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