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중소기업은행 설립 목적 배치되는 예산 투입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이 지난 6년여간 마케팅 사업으로만 약 172억원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스경제 DB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이 지난 6년여간 마케팅 사업으로만 약 172억원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스경제 DB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이 지난 6년동안 마케팅 사업으로만 약 172억원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를 총괄해 관리하는 부서와 시스템 없이 부서별로 진행됐다는 것이다. 이에 중소기업은행 설립 목적과 배치되는 예산 투입이란 지적이 나왔다. 

국회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이 IBK기업은행에 자료요구를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기업은행 이벤트 추진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4년 8월까지 총 485건의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여기에 소요된 사업비는 총 171억5500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2019년 62건 (38억7300만원) △2020년 76건(21억3600만원) △2021년 74건(31억600만원) △2022년 94건(23억7000만원) △2023년 92건(26억9900만원) △2024년 8월까지 87건(29억7100만원) 등이다. 

대상별로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가 380건(78.4%)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업 86건(17.7%) △통합 19건(3.9%)으로 이벤트 10 건 중 약 8건은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였다 .

또한 이벤트에 투입된 예산으로 살펴보면, 개인에 150억 5100만원(87.7%)인 반면 기업은 19억5300만원(11.4%), 통합 1억5100만원(0.9%)으로 개인 대상 홍보성 이벤트에 투입된 예산이 많았다 .

지난 6년여간 전체 23개 부서 중 이벤트사업을 추진한 부서는 총 17개 부서로 이 중 가장 많은 이벤트 사업을 진행한 부서는 개인디지털사업부로 총 119건의 이벤트에 60억 4200만원을 투입했다. 이어서 개인 고객부(81건·20억3300만원)가 뒤를 이었다. 이들 개인 관련 업무 담당 부서의 이벤트 숫자가 전체 41.2%로, 사업비 기준으로는 47.1%에 달했다.

이에 반해 기업고객부는 28건(4억 700만원), 기업디지털사업부는 21건(4억 1900만원), 기업지원부는 지난 6년여간 단 한번의 마케팅도 실시 하지 않았다. 기업 관련 업무 담당 부서의 이벤트는 전체 대비 건수의 10.1%로 사업비 기준이 4.8% 에 불과했다.

강민국 의원실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산발적으로 매년 수십억원씩 이벤트 사업을 벌이고 있음에도 불구, 이를 총괄하는 부서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

강민국 의원은 “광고도 아닌 마케팅에 대다수의 부서가 기업보다는 개인을 대상으로 매년 수십억원씩 집행하는 것은 '중소기업은행법' 상 중소기업은행 설립 목적인 ‘중소기업자의 경제활동 원활과 경제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과 배치되는 예산 투입인 것이다”고 지적했다 .

이어서 "향후 IBK기업은행은 개인보다 기업 중심인 마케팅전략을 기조 삼아 마케팅전략부를 컨트롤타워로 정해 각 부서의 이벤트 추진 시 건별로 마케팅전략부와 사전협의토록 조치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며 마케팅사업 개선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