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대마·향정신성의약품 중독 의사, 면허 취소 '0건'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치매나 조현병을 앓는 의사 40명이 진료 올해 들어 7월까지 진료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법상 정신질환자는 의료인 결격사유로 규정한다. 특히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는 마약에 중독된 의사에 대해 '면허취소' 등 어떠한 조치도 하지 않고 방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치매(질병코드 F00)나 조현병(질병코드 F20)이 주병상인 의사 40명이 올해 1~7월 4만 9678건의 진료 행위를 했다.
이들 중 주병상 치매는 18명은, 조현병은 22명로 각각 1만 7669건과 3만 2009건을 진료했다. 지난해의 경우 치매 의사 34명이 5만 5606건, 조현병 의사 27명이 7만 8817건의 진료를 했다.
의료법은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신질환자를 의료인의 결격사유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전문의가 의료인으로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경우는 제외된다.
또 마약·대마·향정신성의약품 중독자도 의료인이 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문제는 주무부처인 복지부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19년 이후 올해 6월까지 5년 반 동안 정신질환자나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면허 취소를 단 1건도 하지 않았다.
실제 마약류 중독으로 올해 1월 22일부터 치료보호를 받기 시작한 의사는 치료보호가 종료된 7월 6일까지 44건의 의료행위를 하기도 했다.
서 의원은 "작년 감사원이 정기감사에서 정신질환·마약류 중독 의료인에 대한 관리 방안 미수립을 지적했지만, 복지부는 관리 방안을 마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복지부 측은 의료인 결격자들에 대한 관리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의료인 결격자에 대한 행정처분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하나, 의정 갈등으로 인해 지연된 것"이라며 "하루빨리 이들에 대한 면허취소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동진 기자 bdj@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