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수익률 하락
국제 금값 1%대 상승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에 주식시장이 환호성을 질렀다. 파월 의장의 '잭슨홀 미팅' 연설후 23일(현지 시간 기준) 뉴욕증시는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경제정책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통화정책을 조정할 시기가 도래했다"고 말하며 9월 금리인하를 시사했다.
이에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2.30포인트(1.14%) 오른 41,175.08에 거래가 마감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3.97포인트(1.15%) 오른 5,634.61,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58.44포인트(1.47%) 상승한 17,877.79에 장을 마감했다.
전반적인 강세 분위기가 형성되며 기술주 주가가 급등했다.
대형 기술주들인 테슬라와 엔비디아가 각각 4.59%, 4.55%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인공지능(AI)와 반도체 관련주도 상승세를 보였다. Arm 홀딩스는 4.56% 상승했으며 퀄컴과 AMD 등은 2%대의 상승률을 보였다.
또한 중소형주 위주로 구성된 러셀2000지수는 3.19%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 국채금리도 하락하며 주가 상승을 도왔다.
이날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5.60bp 하락한 3.806%, 2년물 금리는 9.7p하락한 3.913%, 30년물 국채금리는 3.20bp 내려간 4.102%를 기록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3.80%까지 떨어졌고,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같은 시간 3.91%로 떨어졌다.
국제 금값 역시 덩달아 뛰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가격은 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1시 44분쯤 전날보다 1.2% 상승한 온스당 2512.63달러에 거래됐다.
금 선물 가격도 상승해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 종가는 온스당 1.25 오른 2546.30달러를 기록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