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은행권 가계대출이 4개월 연속으로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매매거래 증가와 대출금리 하락, 정책대출 공급 등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2024년 7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20조 8000억원으로 6월에 비해 5조 5000억원이 증가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지난 3월, 2월 대비 1조 7000억원이 줄어든 이후 4월(5조원)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뒤, 5월에 6조원, 6월에 5조 9000억원, 그리고 7월에 5조 5000억원이 증가하는 등, 4개월 연속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882조 5000억원으로 6월보다 5조 6000억원이 늘어났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매매거래 증가·대출금리 하락·정책대출 공급 지속 등으로 6월의 6조 2000억원에 이어 상당폭 증가했다. 일반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잔액은 237조 3000억원으로 6월 대비 1000억원 줄었다.
7월 은행 기업대출 잔액은 1304조 7000억원으로 6월보다 7조 8000억원이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6월:+7000억원→7월:+4조 4000억원)은 반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으로 운전자금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중소기업대출(6월:+4조 6000억원→7월:+3조 4000억원)은 일부 은행들의 기업대출 영업 강화,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증가세를 지속했다. 다만 특이 요인(6월 말 휴일로 인해 결제성자금 대출상환이 7월 초로 이연) 등으로 6월에 비해 증가폭이 축소됐다.
회사채 발행은 연초 차환목적의 대규모 선발행의 영향이 이어지면서 순상환을 지속(6월: -1조 7000억원→7월: -1조 9000억원)했다.다. CP·단기사채(-1조 6000억원→8000억원원)는 반기말 일시상환분 재발행, 일부 기업의 운전자금 수요 등으로 순발행 전환
금융당국은 “가계대출이 4월부터 증가세로 전환한 이후 정책성 대출과 은행권 주담대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8월에도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거래 증가 및 휴가철 자금 수요 등으로 증가세가 확대될 우려가 큰 만큼 높은 경각심을 가져야할 시점이다”며, “가계부채 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관계부처간 정책적 공조, 금융권과 긴밀한 소통 등을 통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명목 GDP 성장률 내에서 관리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이어서 “9월 1일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되고, 은행권 모든 가계대출에 대해 관리목적의 DSR 산출이 개시되는 만큼, 금융권 스스로가 현재 가계부채 상황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차주의 상환능력에 기반해 가계부채를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상환능력 범위 내에서 빌리고(빌려주고) 처음부터 나눠 갚은 대출관행을 일관되게 확립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