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주식자금 18.6억달러·채권자금 3.8억달러
한국은행 9일 발표한 '2024년 7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중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22억 4000만달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9일 발표한 '2024년 7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중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22억 4000만달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제공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지난달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이 22억달러 이상 순유입됐다. 이는  9개월 연속 유입세다. 

한국은행 9일 발표한 '2024년 7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 중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22억 4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지난 6월(24억 5000만달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 연속 순유입이 지속됐다. 

7월 중 주식 투자는 18억 6000만달러로 6월(20억 9000만달러)과 비교해 소폭 줄었으며, 채권 투자는 3억 8000만달러로 6월(3억 7000만달러) 대비 소폭 증가했다. 

주식자금은 글로벌 반도체 업황 기대 등으로 순유입됐으나. 7월 하순 들어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등 대외 불확실성 증대, 차익실현 매도 등으로 순유입 규모가 소폭 축소됐다. 

채권자금은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일부 투자자의 차익실현 매도 등에도 불구, 중장기채권 투자 수요 지속 등으로 순유입 규모가 소폭 확대됐다. 

7월 원·달러 스왑레이트(3개월)는 양호한 외화자금 사정에도 불구, 위험회피심리 강화에 따른 보수적 자금운용 등으로 하락했다. 7월 말 기준 원·달러 스와프레이트는 -2.16%로 6월 말(-2.07%) 대비 9bp가 하락했다.

7월 통화스와프금리(3년)는 2.37%로 주로 국고채금리 하락에 연동하며 6월말(2.62%) 대비 25bp가 하락했다.

7월 중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률은 0.24%로 6월(0.26%) 대비 소폭 축소됐다. 주요국 통화 중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은행의 대외차입 가산금리와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외평채 CDS 프리미엄(5년물 기준)은 7월 평균 36bp로 6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대외차입 가산금리는 6월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7월 중 단기 가산금리는 15bp, 중장기 가산금리는 61bp를 기록했다. 2022년 1월~2024년 6월중 평균(단기: 27bp·중장기: 75bp)을 하회하는 수준이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