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지난달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이 22억달러 이상 순유입됐다. 이는 9개월 연속 유입세다.
한국은행 9일 발표한 '2024년 7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 중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22억 4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지난 6월(24억 5000만달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 연속 순유입이 지속됐다.
7월 중 주식 투자는 18억 6000만달러로 6월(20억 9000만달러)과 비교해 소폭 줄었으며, 채권 투자는 3억 8000만달러로 6월(3억 7000만달러) 대비 소폭 증가했다.
주식자금은 글로벌 반도체 업황 기대 등으로 순유입됐으나. 7월 하순 들어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등 대외 불확실성 증대, 차익실현 매도 등으로 순유입 규모가 소폭 축소됐다.
채권자금은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일부 투자자의 차익실현 매도 등에도 불구, 중장기채권 투자 수요 지속 등으로 순유입 규모가 소폭 확대됐다.
7월 원·달러 스왑레이트(3개월)는 양호한 외화자금 사정에도 불구, 위험회피심리 강화에 따른 보수적 자금운용 등으로 하락했다. 7월 말 기준 원·달러 스와프레이트는 -2.16%로 6월 말(-2.07%) 대비 9bp가 하락했다.
7월 통화스와프금리(3년)는 2.37%로 주로 국고채금리 하락에 연동하며 6월말(2.62%) 대비 25bp가 하락했다.
7월 중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률은 0.24%로 6월(0.26%) 대비 소폭 축소됐다. 주요국 통화 중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은행의 대외차입 가산금리와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외평채 CDS 프리미엄(5년물 기준)은 7월 평균 36bp로 6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대외차입 가산금리는 6월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7월 중 단기 가산금리는 15bp, 중장기 가산금리는 61bp를 기록했다. 2022년 1월~2024년 6월중 평균(단기: 27bp·중장기: 75bp)을 하회하는 수준이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관련기사
- IBK기업은행, 중소기업 근로자 가족 치료비 지원
- 신한은행, 사회적채권 연계 지급보증부 커버드본드 발행
- 카카오뱅크, 서울신보와 250억 규모 이자지원 보증서대출 출시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총주주환원율 50% 확대" 천명
- 전국 주유소 기름값 2주 연속 하향곡선…휘발유 1706.6원·경유 1543.9원
- 푹푹 찌는 날씨…행안부, 폭염 대비 임시 주거시설 실태점검
- 다음 주 전국서 3000여가구 분양 시작…수도권 80% 집중
- 中, 신에너지차 판매량 87만 여대…처음으로 가솔린차 넘어
- 하나금융, 청소년 불법도박 예방·치유 위한 프로젝트 추진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부적정 대출, 경영진 책임…환골탈태할 것"
- 은행권, '글로벌 금융허브 부상' 인도 시장 주목
- 은행권 가계대출 넉달째 증가…금융당국 "증가세 확대될 우려 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