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창원 MDPS공장에 검사시스템 구축...향후 다른 공정으로 확대 예정
현대모비스는 MDPS를 생산하는 창원공장에 소리를 활용해 품질검사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했다. 컨베이어를 지나가는 제품을 어쿠스틱 AI 검사기가 판별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는 MDPS를 생산하는 창원공장에 소리를 활용해 품질검사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했다. 컨베이어를 지나가는 제품을 어쿠스틱 AI 검사기가 판별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한스경제=박시하 기자] 현대모비스가 소리를 활용한 인공지능(AI) 제품검사 시스템 ‘어쿠스틱 AI’를 개발해 모터제어 파워스티어링(MDPS)을 생산하는 창원공장 현장에 적용한다고 19일 밝혔다.

AI 시스템이 제품 검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소리를 듣고 불량품을 걸러내는 방식으로 검수 과정도 간소화할 수 있어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모비스의 어쿠스틱 AI 검사시스템은 MDPS 소음검사 과정에 적용된다. 소음검사에서 MDPS에 달린 모터가 회전해 발생하는 소리는 일정한 물결 모양의 파형을 그려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파형이 튀거나 높낮이가 다른 미세한 영역을 잡아내 불량품을 걸러낼 수 있다.

기존에는 자동화 시스템이 조립과정을 거쳐 기준치를 밑도는 불량 의심 제품을 1차로 걸러낸 후 이를 모아 전문인력이 재판별하는 과정을 거쳤다. 하지만 어쿠스틱 AI 검사시스템을 도입하면 불량품을 걸러내는 과정도 간소화할 수 있고 품질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제의 원인까지도 구분할 수 있다고 전했다.

어쿠스틱 AI는 소리를 매개체로 특정 소리에 의미를 부여하고 적절한 판단을 내리도록 하는 알고리즘 기술이 핵심이다. 현대모비스는 품질경쟁력 제고를 위해 현장 엔니어들과 생산기술 전문가, 석박사급의 인공지능 전문 인력들이 약 1년 간 데이터를 확보하고 분석한 끝에 어쿠스틱 AI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또한 어쿠스틱 AI는 스마트팩토리에 적합한 산업용 AI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창원공장에 구축한 검사시스템은 1초에 한 대씩 품질을 검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창원공장에서 어쿠스틱 AI의 효용성을 확인한 후 향후 다른 부품 공정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어쿠스틱 AI를 통해 유의미한 데이터를 지속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인공지능 모델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의 정확성도 향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시하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