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도어장착형 커튼에어백·자립형 동승석 에어백 2가지 선보여

도어장착형 커튼에어백. /현대모비스 제공

[한스경제=박시하 기자] 현대모비스가 18일 목적기반차량에(PBV)에 특화된 에어백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PBV 기반 플릿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PBV 특화 에어백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PBV 특화 에어백은 도어 장착형 커튼에어백과 자립형 동승석 에어백 2가지다. 두 에어백 모두 충돌이나 전복 사고시 탑승객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부상 정도를 대폭 낮춘다. 또 북미 등 까다로운 해외 안전기준도 만족한다는 설명이다.

도어장착형 풀전개. /현대모비스 제공
도어장착형 풀전개.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는 세계 최초로 와이어 방식을 커튼에어백에 적용했다. 에어백 좌우로 설치된 와이어를 따라 쿠션이 펼쳐지고, 창문 밖으로 탑승객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 위에서 아래로 펼쳐지는 기존 방식과 달리 아래서 위로 펼쳐진다. 

사고시 팽창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0.03초에 불과하고, 미국 교통안전국(NHTSA)의 이탈경감표준(FMVSS 226)도 충족하는 등 뛰어난 안전성이 특징이다. 현대모비스는 도어 장착형 커튼에어백이 슬라이딩 도어를 적용한 PBV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규상 현대모비스 승객안전연구실장은 “도심 운송에 특화된 PBV 시장을 염두에 두고 신개념 커튼에어백을 개발했다”며 “로보라이드용 PBV는 개방감을 강조해 측면 유리창 크기가 더욱 커지므로, 향후 강화된 탑승객 안전장치 도입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자립형 에어백. /현대모비스 제공
자립형 에어백. /현대모비스 제공

자립형 에어백은 시트부터 전면 유리창까지의 거리가 멀고, 실내 공간이 넓은 PBV 특성을 고려한 기술이다. 세단이나 SUV는 약 30도 각도의 전면 유리가 팽창한 쿠션을 지지한다. 반면 PBV는 시트에서 전면 유리까지의 거리가 멀고, 유리가 직각에 가깝다. 이에 현대모비스는 에어백 하부의 지지력만으로 충격을 흡수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을 개발했다. 

자립형 동승석 에어백은 에어백을 전면부(크래시패드)에 밀착시키고, 에어백을 고정하는 설계기술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쿠션이 에어백 덮개에 해당하는 하우징과 연결돼 순간적으로 쿠션을 잡아주고, 쿠션의 들림 현상도 막아준다. 에어백이 전면 유리창에 닿지 않아도 쿠션과 전면부 사이의 지지력으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이 에어백은 북미 신차평가프로그램(NCAP) 안전성 기준에서 높은 등급을 받았다.

현대모비스는 향후 시트 위치나 탑승객의 방향 등 실내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에어백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박시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