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조선업 5개 시·도와 조선기자재업체로 구성된 ‘조선산업 정책협의회’ 신설
지난 3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K-조선 차세대 이니셔티브 1차 회의'가 개최됐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지난 3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K-조선 차세대 이니셔티브 1차 회의'가 개최됐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한스경제=김우정 기자] 정부가 K-조선의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조선업이 밀집한 부울경(부산시·울산시·경남도), 전남도 등 지방자치단체와 정책협의 채널을 구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오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조선소와 기자재업체가 밀집한 부산·울산·경남·전북·전남 5개 시·도와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등이 참여하는 ‘제1차 조선산업 중앙지방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신설된 협의회는 매분기 별로 정례화해 개최될 예정이다.

협의회에서 산업부는 올해 조선산업 주요 정책방향을 설명했으며 지방자치단체들은 다양한 건의와 현장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특히 내년도 신규사업 국비 지원, 인력수급 애로, 선수금환급보증(RG) 등 중형조선사 금융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건의했다.

이에 산업부는 금융위, 법무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4급 공무원을 HD현대중공업에 파견한 울산시의 적극행정사례 등을 타 지자체도 벤치마킹해 조선기업별 전담지원 공무원을 지정하고 해당 지원관과 산업부 담당부서 간 핫라인(Hot-Line)을 구축해 기업애로사항 발생 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과거 조선산업이 위기를 겪을 때에도 중앙-지방 간 신속한 협력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것처럼 미래에 대한 대비도 중앙-지방이 함께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협의회가 그 구심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우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