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컨테이너 150만TEU, 벌크 110척으로 확대...'2030년 중장기전략' 상반기 중 구체화
2050년 ‘넷 제로’(Net Zero) 목표, 2045년 조기 달성 검토
1만1000TEU급 컨테이너선 HMM 블레싱호 / HMM 제공
1만1000TEU급 컨테이너선 HMM 블레싱호 / HMM 제공

[한스경제=김우정 기자] HMM이 급변하는 전세계 해운환경에서 주력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안정적인 사업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보유 선대를 2배로 확대하는 등 몸집 키우기에 나섰다. 이와 함께 2050년 ‘넷 제로(탄소중립)' 목표도 2045년으로 앞당길 계획이다.

HMM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30년 중장기전략’을 수립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주요 내용으로 컨테이너 사업의 경우 글로벌 해운 얼라이언스 재편에 대응하고 핵심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92만TEU(84척, 연말 기준)인 선복량을 2030년 150만TEU(130척)로 확대한다. 또한 서비스 네트워크 확장, 노선 다변화 등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벌크 사업도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수익 확보, 컨테이너 사업과의 균형 성장을 위해 현재 630만DWT(36척)에서 2030년 1228만DWT(110척)로 선대 확장을 추진한다. 선형별로 경쟁력있는 선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한편 국내외 전략화주를 기반으로 영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서비스 네트워크 확장에 맞춰 신규 터미널 확보 등 물류 인프라를 강화해 수익 다각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갈수록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한 대응력도 높이기 위해 2050년 ‘넷 제로’(Net Zero)를 2045년으로 앞당기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디지털라이제이션(Digitalization) 추진, 미래 신사업 개발 등에 대한 투자도 지속할 방침이다.

HMM은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2030년 중장기전략’ 관련 컨설팅을 진행한 뒤 상반기 중 추후 세부 내용을 발표할 방침이다.

HMM 관계자는 “컨테이너 사업을 중심으로 벌크·통합물류사업을 확장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방침”이라며 “글로벌 수준에 걸맞는 대한민국 대표 종합물류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우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