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권현원 기자] 인도가 높은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포스트 차이나’로 급부상하자 금융투자업계의 시선도 인도 시장으로 향하는 모양새다. 특히 미래에셋증권은 현지 증권사 인수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 금융투자협회 역시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인도 자본시장에 대한 설명에 나서는 등, 금융투자업계의 ‘인도 진출 러시’가 어디까지 이어질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12일 인도 증권사인 쉐어칸(Sharekhan Limited)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국내 증권사 최초로 인도 자본시장에 진출한데 이어 5년 만에 국내 최초로 현지 기업 인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이날 미래에셋증권은 BNP파리바(BNP Paribas SA)와 쉐어칸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매입 금액은 약 300억 루피로, 원화로는 약 4800억 수준이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설립된 쉐어칸은 총 임직원수 3500여 명, 총 계좌 약 300만 계좌, 현지 업계 10위 수준의 증권사로, 인도 전역 400개 지역, 130여 개 지점 및 4000명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외부 전문 투자 네트워크)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약 2100만달러 수준으로 파악된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이번 쉐어칸 인수로 장기 성장 중인 인도 증권업에서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며 “인수 후 현지 유일의 외국계운용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과 함께 그룹차원의 비즈니스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증권이 현지 증권사 인수를 통해 진출한 인도는 ‘포스트 차이나’로 주목받으며 급부상하고 있다. 이는 긍정적인 인구 전망과 적극적인 정책 지원, 글로벌 탈중국화의 수혜국를 통해, 향후 가장 괄목할 만한 경제 성장률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홍록기 키움증권 연구원은 “인도 국내총샌산(GDP) 전망치는 상향되고 있다”며 “중국과 비교했을 때, 인프라(도시화율) 등의 경영환경은 낙후돼 있으나 성장률 관점에서 이미 중국은 신창타이(중고속경제성장) 시대 진입을 인정했으며 향후 둔화세가 예상되는 반면, 긍정적인 인구 전망, 미국과의 연대 강화, 글로벌 탈중국화의 수혜국으로서 인도향 직접투자(FDI) 유입은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고 밝혔다.
이어 “명목 GDP와 1인당 GDP 기준, 인도는 2007년 당시 중국과 유사하며 인구구조, 지정학적 요인, 정책 지원(제조업·신재생·디지털화) 관점에서 향후 전 세계적으로 가장 괄목할 만한 성장률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젊은 인구를 중심으로 한 소비시장 성장도 기대된다. 인도는 중국을 추월한 인구대국이기 때문이다.
홍 연구원은 “인도는 2023년 중국을 추월한 인구대국으로 GDP에서 최종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72%다”며 “인도의 실질 소비층은 약 4억 7000만명으로 추산되며, 인도 중위 연령은 28세로 중국(38세)보다 10년 가량 낮아 인도 경제활동인구수는 2030년 중국을 앞지를 전망이며 제조업 비중 확대로 향후 대규모 노동시장 진입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렇듯 인도가 높은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으면서 협회 차원의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5일 회원사의 해외 진출 지원 및 투자 기회 모색의 일환으로, 인도의 자본시장 현황과 진출‧투자기회에 대해 소개하는 ‘인도 자본시장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의 9월 인도 방문에 대한 후속 조치로 마련된 것이며 초청 인원에는 인도 증권사 대표이자 뭄바이증권협회(BBF) 임원인 아누락 반살 부회장, 우땀 바그리 전(前)회장을 비롯해 인도 국립증권거래소 국제금융서비스센터 최고경영자(CEO) 발라수브라마니암 벤카타라마니 등, 인도 자본시장 전문가들이 포함됐다.
설명회에서는 인도 자본시장의 제도와 인프라에 대해 설명하고 인도는 어떤 투자메리트가 있는지에 대해서 소개하는 시간됐다. 또한 사전에 참여 회원사들의 질의를 취합해 현지 법인 설립과 관련한 유의사항과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장려 정책은 무엇이 있는지 등 회원사들이 궁금해 하는 사항들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해주는 시간을 가졌다.
서유석 회장은 “인도는 14억명이 넘는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일 뿐 아니라 평균 연령이 27세에 불과 할 정도로 인구구조가 탄탄한 젊은 국가로 성장 잠재력이 가장 큰 나라다”며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 중인 인도야말로 우리 자본시장이 가장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곳으로, 이번 설명회가 회원사들이 인도 자본시장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갖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권현원 기자 hwkwo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