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주, 기대와 불확실성 상존하나…IFRS17 도입 배당 첫 실시
증권주, 배당 가능이익 보유 여부가 관건…‘분산 기회’ 주목 의견도
[한스경제=권현원 기자] 금융당국의 정책에 따라 금융사들의 배당기준일 변경이 이어지면서 각자 투자에 맞는 배당기준일 확인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증권가에서는 금융주 안에서도 업권별 상황이 각기 다름에 따라,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선별적인 투자에 나설 것을 권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법무부는 지난 1월 국내 기업의 배당제도를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해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상법 유권해석 및 기업별 정관 개정 등을 통해 기업이 결산배당 시 주주총회 의결권기준일과 배당기준일을 다르게 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자자들이 주주총회에서 정한 배당금액을 보고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개선하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현행은 선(先) 배당기준일, 후(後) 배당액확정으로 최종 배당액이 확정되지 않은 채 주식거래를 할 수밖에 없었다. 통상 12월 말 배당기준일이 정해지면→다음 해 2월 주총소집 이사회 결의→3월 주주총회를 통한 배당액 확정→4월 배당금 지급 방식이었다.
반면 개선안에서는 배당여부 및 배당액을 알고 투자를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방식은 2월 주총소집 결의→3월 주주총회 배당액 확정→4월 초 배당기준일→4월 말 배당금 지급으로 이뤄진다.
이에 따라 12월 결산 상장회사(유가·코스닥) 2267개사 중 636개사인 28.1%가 정관 준비를 완료해 배당절차 개선을 위한 준비를 마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상장회사들은 개정된 정관에 따라 주주총회를 통해 배당액을 확정한 이후 배당받을 주주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배당주로 분류되는 금융주 역시 업권별로 차이는 일정 부분 차이는 있지만 해당 금융사들 대부분이 배당기준일 변경을 알리고 있다. 금융주의 경우는 다수의 금융사들은 올해 4분기 배당기준일을 내년 2월에서 4월 사이로 변경했다.
다만 같은 금융주라도 업권별로 상황에 따라 주목할 점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은행주, 두 번 배당 받을 가능성도…‘상생금융’에 촉각
우선 금융지주·은행주는 내년 2월 말에서 3월 말까지 두 번의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이는 분기배당의 경우는 아직까지 관련법의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정준섭·윤유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상법 유권해석을 통해 결산배당 시 주총 의결권기준일과 배당기준일을 다르게 정하면서 투자자들이 배당금액을 보고 투자하는 건 가능하게 됐지만 아직 분기배당은관련 법(자본시장법)의 개정이 필요하다”며 “추후 언젠가는 개정이 되겠지만, 현실적으로 2024년 1분기 배당부터 반영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따라서 중간배당을 실시하는 금융지주는 2월 말~3월 말까지 두 번의 배당기준일(2월 말~3월 중순 2023년 4분기, 3월 말 2024년 1분기)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며 “즉 이 기간 동안 약 40여일 가량 주식을 보유하는 투자자는 두 번의 배당을 받을 기회가 있다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두 연구원은 은행업권에서 논의 중인 ‘상생금융’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정준섭·윤유동 연구원은 “현재로서는 상생금융 부담이 금융지주 주주환원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만약 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당초 예상보다 클 경우 주주환원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도 “다만 설령 상생금융이 주주환원에 영향을 주더라도, 배당보다는 자사주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보험주, ‘기대·불확실성’ 상존…증권·카드, 4분기 충당금 인식 규모 ‘관건’
보험주의 경우는 기대와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올해가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첫 해이고, 이에 따른 손익 변동성도 컸기 때문이다.
두 연구원은 “4분기에도 실손 요율 조정 및 연말 가정 변경에 따른 보험계약서비스 마진(CSM) 조정과 손실계약비용 반영이 남아 있어서 연간 이익과 배당가능이익을 가늠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럼에도 현 시점에서 예상할 수 있는 건 2023년 회계적 이익이 2022년보다 증가했으므로 2023년 주당배당금(DPS)도 2022년보다는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11~12월 시장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하면서 각 보험사의 4분기 투자손익 개선 및 배당가능이익 증가가 예상된다”고 했다.
증권·카드는 4분기 충당금 인식 규모가 지목된다. 특히 증권사의 경우, 배당가능이익 보유 여부가 관건이라는 설명이다.
정준섭·윤유동 연구원은 “올해 증권사들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해외 투자자산의 부실 우려로 인해 대규모 충당금 적립 및 부실채권 상각을 진행 중”이라며 “4분기에도 연말자산재평가를 통해 거액의 손실을 인식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기조는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 “향후 실적 전망이 불투명하기에 증권사들이 전년 수준 혹은 연초 가이던스로 언급했던 DPS를 지급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증권주의 경우는 분산 기회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지원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증권업종 투자의견을 중립(Neutral)으로 유지하지만 그럼에도 불구, 배당플레이가 유효하다고 보는 이유는 분산 효과 때문이다”며 “즉 은행주 결산배당 기준일이 이연된 가운데 제도변경 과도기 속 약 두 번의 기회가 있는 셈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DPS 확대가 기대되고 변경 절차를 적용하지 않은 증권주 중심으로 1차 수급 몰림이 예상된다”며 “그 다음 3월 말 2차 수급 몰림이 예상되는데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권현원 기자 hwkwo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