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KT, 원희룡 장관과 우크라이나 키이우 ‘한-우 재건 협력 포럼’ 참여
우크라이나 재건 핵심 정부 전용 재난 통신망 구축 및 AMI 솔루션 제안
우크라이나 정부 인사들, 높은 관심 속 사업 구체화 논의하기로
한국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한국-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포럼’에서 KT 문성욱 글로벌사업실장이 ‘ICT Partner for Ukraine’이라는 주제로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제안 발표를 하고 있다. / KT
한국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한국-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포럼’에서 KT 문성욱 글로벌사업실장이 ‘ICT Partner for Ukraine’이라는 주제로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제안 발표를 하고 있다. / KT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KT는 지난 14일 한국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한국-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포럼’에서 정부 전용 통신 인프라 구축과 효율적 에너지 운영을 위한 AMI 솔루션을 제안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KT는 국토부 원희룡 장관이 이끄는 ‘원팀 코리아’의 한국 통신 대표 기업으로 참여했다. KT는 원희룡 국토부장관과 우크라이나 부총리, 장관 등 우크라이나 주요 정부 인사가 참석한 포럼에서 ‘ICT Partner for Ukraine’이라는 주제로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제안 발표를 진행했다.

KT는 발표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가 정부 전용 재난안전 통신망(PS-LTE) 적용을 통해 긴급 상황 발생 시 높은 보안성을 바탕으로 신속한 대응 체제가 마련될 수 있다”면서 “또한 국방 전용망(M-BcN) 구축으로 24시간 상황실 운영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국방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2018년 세계 최초로 대한민국 국가 재난망을 구축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양자암호 솔루션과 정부 전용 IDC(G-IDC) 구축을 통해 통합적이고 안정적인 데이터관리와 국가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KT가 보유한 전력 지능형 검침 인프라(AMI) 솔루션을 통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면 전력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전력 생산이 전쟁 전 대비 50% 이하 감소했다.

이번 한-우 재건 협력 포럼에 참석한 우크라이나 정부 인사들은 KT가 제안한 사업과 관련 구체적인 협력을 위해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KT 문성욱 글로벌사업실장은 “국내외에서 진행한 통신 사업 경험과 ICT 솔루션 역량을 기반으로 우크라이나의 인프라 개선에 적극 참여하겠다”면서 “KT뿐 아니라 KT 그룹 차원에서 ‘원팀 코리아’ 참여 기업들과의 협업으로 우크라이나 재건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나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