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점유율 확대 포문 열어
“다수 PBM과 협상 진행 중”…추가 등재 가능성
셀트리온헬스케어 사무동. /셀트리온헬스케어 제공
셀트리온헬스케어 사무동. /셀트리온헬스케어 제공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삼성바이오에피스 ‘하드리마’에 이어 셀트리온헬스케어 ‘유플라이마’도 미국 주요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와 계약에 성공하며, 약 25조원에 달하는 미국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시장을 잡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일 “지난달 말 유플라이마를 미국 주요 PBM 가운데 한 곳의 공보험 시장에 선호의약품으로 등재하기 위한 리베이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만 대상 업체와 세부적인 계약 내용 등은 후속 행정 절차를 마무리한 후 공개할 예정이다.

미국 시장은 공보험보다 사보험 시장이 크다. 이 때문에 PBM을 통한 유통은 제품 성장에 필수적이다.

PBM은 처방의약품의 관리 업무를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업체다. 다양한 보험사와 약제비 관리를 위탁받는 계약을 맺어 의약품 목록을 선별·유지하고, 약제비 청구에 대한 심사와 지불 등을 담당한다. 그 대가로 관리비와 기업이 제공하는 리베이트를 받는다.

미국 PBM 시장은 △CVS헬스의 ‘CVS케어마크(33%)’ △시그나의 ‘익스프레스 스크립트(24%)’ △유나이티드그룹의 ‘옵텀Rx(22%)’ 등 3대 메이저 PBM이 80%가량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가장 점유율이 높은 CVS케어마크는 아직 오리지널 휴미라 외에 바이오시밀러를 처방집에 올리지 않았다. 익스프레스 스크립츠는 지난달 10일(현지시간) 베링거인겔하임 ‘실테조’, 산도스 ‘하이리모즈’ 및 무브랜드 제품 ‘아달리무맙-adaz’, 암젠 ‘암제비타’를 처방집에 등재했다. 옵텀Rx는 지난 6월 이들 4종과 함께 ‘아달리무맙-atto’를 처방집에 올린 상태다.

셀트리온헬스케어가 PBM사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주요’라고 언급한 점을 고려하면, 3대 메이저 중 한 곳의 공보험 목록에 등재됐을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앞서 하드리마는 지난달 12일 6위권 PBM인 프라임 테라퓨틱스(점유율 약 6.4%)의 처방집에 포함됐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현재 다수의 PBM들과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회사의 전략에 부합하는 채널과 협의를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면서 연내 미국 인구의 40%를 커버하는 보험 시장에 유플라이마를 등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변동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