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신사옥 로봇 서비스 활용…5G 특화망 ‘이음 5G’ 명명
국내 최초 5G 특화망이 구축될 네이버 제2사옥 조감도 / 사진=네이버
국내 최초 5G 특화망이 구축될 네이버 제2사옥 조감도 / 사진=네이버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이동통신 사업자가 아닌 일반 사업자로 ‘5G 이동통신 특화망’을 활용하는 국내 첫 기업이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네이버클라우드가 신청한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과 기간통신사업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과기부가 올해 1월 관련 정책 방안을 내놓은 뒤 실제 5G 특화망을 도입한 첫 사례다.

5G 특화망이란 5G 융합서비스를 희망하는 사업자가 특정 지역에 직접 구축하는 맞춤형 네트워크로, 스마트공장 등 산업 용도로 주로 활용된다.

국내 최초로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을 받은 네이버클라우드는 네이버 제2사옥에 5G 특화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이용해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브레인리스 로봇'(본체에 내장된 기기가 아니라 클라우드가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 서비스에 활용될 예정이다.

과기부는 5G 브레인리스 로봇이 대규모 트래픽을 활용할 가능성을 고려해 네이버클라우드가 신청한 대로 28㎓ 대역을 포함한 5G 특화망 전체 대역폭을 할당했다. 할당된 주파수는 28㎓ 대역 600㎒폭(28.9∼29.5㎓), 4.7㎓ 대역 100㎒폭(4.72∼4.82㎓)이다.

주파수 할당 대가는 5G 특화망 특성에 따라 전국 단위의 이동통신 주파수에 비해 현저히 낮은 1천473만원(연면적 0.1682㎢, 5년 기준)으로 책정됐다.

이와 함께 네이버클라우드가 신청한 회선설비 보유 기간통신사업자 변경등록 신청은 최소한의 이용자 보호방안 등을 마련하는 조건으로 변경등록 처리가 완료됐다.

한편 과기부는 5G 특화망을 '이음(e-Um) 5G'라는 새 이름으로 부르기로 했다. 공모전을 거쳐 정해진 이 이름은 초고속(eMBB), 초저지연(URLLC), 초연결(mMTC)의 5G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동시에 나와 우리, 그리고 사물과 사회까지 이어준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조경식 과기부 제2차관은 "올해는 새롭게 이음5G를 시작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 내년은 이음5G가 본격 확산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이음5G를 중심으로 앞으로 모든 기기가 연결돼 다양한 5G 융합서비스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재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