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과기부, Wi-Fi 6E 출력 25㎽→250㎽ 10배 상향
“대국민 서비스 품질 제고 위해 정책적 지원 이어갈 것”
지하철 와이파이 / 사진=연합뉴스
지하철 와이파이 /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앞으로 지하철 객차 안에서 기존보다 약 5배 빨라진 와이파이(Wi-Fi)를 이용할 수 있게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일반 국민들이 지하철 객차 안에서 '와이파이(Wi-Fi) 6E'를 이용할 수 있도록 6㎓ 대역 일부(5925∼6425㎒, 500㎒ 폭)의 출력기준을 상향(25㎽→250㎽)하는 방안을 확정하고 관련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 했다.

Wi-Fi 6E는 6㎓ 대역(5925∼7125㎒)까지 이용하는 Wi-Fi 표준으로 기존 Wi-Fi 대비 최대 5배 빠른 속도를 보유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과기부는 지난해 10월 세계에서 2번째로 6㎓ 대역을 Wi-Fi 6E로 공급한 바 있다. 다만 6㎓ 대역을 이용하고 있는 기존 무선국을 보호하기 위해 지하철 내 Wi-Fi 6E 출력을 매우 낮은 수준(25㎽)으로 제한해 왔다.

그동안 산업계에서는 지하철 객차 안에서 Wi-Fi 6E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6㎓ 대역 출력기준 완화를 요청해왔다. 이에 과기부는 산·학·연 전문가로 연구반을 구성해 간섭실험, 이해관계자 협의 등을 진행해 왔다.

먼저 과기부는 지하철 내 6㎓ 대역 이용출력을 10배(25㎽→250㎽) 상향한다. 이를 통해 지하철에서도 Wi-Fi 6E 공유기(200∼250㎽)를 설치·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6㎓ 대역 기존 무선국 보호를 위해 지하철 Wi-Fi 6E의 이용폭은 5925∼6425㎒로 제한된다.

과기부는 통신3사 등과 개정안을 적용한 '5G 28㎓ 활용 지하철 Wi-Fi 성능개선 실증'을 진행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지하철 Wi-Fi 속도 10배 향상이라는 효과성을 검증했음은 물론 6㎓ 대역 면허무선국에 혼·간섭 영향이 없음도 확인했다.

과기부는 행정예고 기간인 내년 2월 21일까지 추가 의견수렴을 진행할 예정이다.

최우혁 과기부 전파정책국장은 "지하철 Wi-Fi라는 대국민 서비스 품질 제고 관점에서 이번 규제완화를 과감히 결정했다"며 "통신 3사가 공동으로 합심·협력해 지하철 실증 결과의 서울 지하철 본선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이번 규제완화를 포함해 정책적 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재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